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 국내 주요 작물에 대한 나방류 피해 및 가해종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현재까지 다양한 계통의살충제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시기별로 1990년대까지 Carbamate계, Organophosphate계 및 Pyrethroid계가 개발되어많이 사용하였으나 1997년 Emamectin benzoate , 2000년 Indoxacarb가 개발 되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2007년이후에 새로운 작용기작의 Diamide계 살충제가 개발되었고 빠른 섭식억제와 높은 방제효과로 사용량이 증가하면서Diamide계 살충제 사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과수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해충피해가 증가하였고, 해충종은 사과굴나방, 복숭아유리나방, 복숭아심식나방,복숭아순나방은 발생하였다(RDA,1988). 원예작물에서는 재배면적의 증가와 재배작물의 다양화로 시설에서 해충발생의 변화하기 시작했다.이와 같이 주요 작물에 대한 나방피해가 점점 증가하는 실정이며 해충종합관리(IPM)와 살충제저항성관리(IRM)의다양한 방제방법을 이용한 저항성의 발현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