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왜어 산업진흥볍 개정으로,공공부문 정보화 시장에 대기업 사업 참여가 제한되고 중소기업의 사업 참여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통합관리 및 소프트혜어 품질관리의 취약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조처로 PMO 제도를 법제화 하여,제도적,조직적 프로젝트관리를 통한 IS프로젝트의 성과를 향상을 하려는 것이다. IS 프로젝트 관리영역에 관련된 PMO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PMBOK 9 개 관리영역 중 3 개 핵심관리 영역 연관성 분석을 통해 PMO 업무 핵심 관리능력인 PMO 기능을 정의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성과 및 영향 요인은 이론적 연구를 통해 성과 영향 요소 및 성과요소를 정의하였다. 제시한 연구모델의 실증적 검증은 공공부분 발주자,사업수행자,감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프로젝트의 성과 향상에 영향을 주는 PMO 활동의 기능 및 PMO운영 형태 상호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연구모델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