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제적으로 장애인 고용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 고용정 책의 국제적인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제적인 동향, 장애인 고용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및 고용주를 위한 재정 지원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제노동기구와 유엔 의 비준안 및 협약을 통해, 장애인 고용은 개방 노동시장에 일을 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가 제공되어 야 하는 기본 권리임을 확인하였다. 장애인 고용에서 합리적 편의제공과 장애 근로자를 위한 예방, 조기 개입, 직업 유지, 실업 장애 근로자 관리는 중요하였다. 또한 고용주에 대한 재정적 인센티브 지 원은 개방형 노동시장에서 장애인을 위한 직업기회 창출에 중요하였다. 그리고 덴마크, 노르웨이, 스 웨덴, 핀란드, 독일, 영국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장애인 고용정책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국제적인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의 장애인 고용정책에 대한 제도적인 보완을 제언하였다.
사회적경제교육의 효과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내면화 및 태도화되어 직접적 실행되어야 효 과성이 있으므로 초기 아동기(초등학교 1-2학년)부터 사회적경제교육이 누적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 재 사회적경제교육은 성인 중심, 단기성, 선택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초기 아동 대상 커리큘럼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연구는 초기 아동발달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하여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사회적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사회적경제교육 학계 및 현장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통해 사회적경제 교육의 필요성, 운영구성, 내용구성, 평가, 기타 5개 영역 11개 범주를 도출하였고, 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 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아동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경제교육 커리큘럼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 후 본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활용가능한 콘텐츠 개발과 교육 실행을 통한 사전 사후 평가가 실행 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지속적인 사회적경제교육 프로그램 발전을 위하여 학년별 모듈화와 인력 전문 화, 교과과정 내 편재를 통해 초기 아동기부터 사회적경제교육 경험이 반복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