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ruiting bodies of Sanghwang mushrooms, Phellinus linteus HN1009K (PLH) and Phellinus linteus (Korea Sanghwang, PLK), and Phellinus baumii (Jangsu Sangwhang, PB), were extracted with 70% methanol. The methanolic extra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5–200 μg/ml) showed inhibitory effects of 20–95% on plated aggregation induced by collagen (2.5 ug/ml), ADP (10 uM), and thrombin (0.1 U/ml). The PLH, PLK, and PB extracts (200 ug/ml) reduced ATP release from ADP-activated platelets by 50¬60%.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Sanghwang mushrooms inhibit platelet aggregation.
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 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0.6-1.0㎛, 길이는 1.2-3.0㎛ 이었고 세포표면에 편모를 가진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β-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rn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Ente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Ente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성장률은 각각 75.0, 37.5, 7.5, 0.5%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 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0×10^6에서 2.0×10^7 CFU/g으로 완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