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기반으로 댄스스포츠 경기상황에서 선수의 수행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효능감(competitive self-efficacy)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개방형 설문(선수 및 심판 70명)을 통해 경기효능감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요인을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척도를 개발해 일련의 요인분석을 거쳐 경기효능감의 측정 구조를 검증 하고, 나아가 성별과 경력 및 입상경험에 따른 차이 검증을 통해 외적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댄스스포 츠선수의 경기효능감은 기본동작능력(BMA), 커플소통능력(CCA), 이미지관리능력(IMA), 음악표현능력(MEA), 신체정신능력(PMA), 및 작품구성능력(CPA)의 6요인(18문항) 구조로 확인되었다. 집단특성에 따라 남자선수가 여자 선수에 비하여 효능감 지각이 높았으며, 개인경력이 오래되고, 1위 입상경험이 있을 때 경기효능감 수준도 높았다. 결론: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경기의 특성과 상황 및 맥락을 반영하는 다차원적 경기효능감의 구성개념을 확인 하고, 심리측정적 진단도구를 최초로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선수들의 수행력은 물론 다른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변인과의 관계성을 찾는 후속 연구들이 수행되길 기대한다.
        2.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unique partnership of Dancesport develops, what are its key factors, and to specify the concept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development. Methods: To collect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airs of national competition champions who have more than 5 years of partnership experience and who are registered in the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Triangulation in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on coding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s: With coding, 66 concepts, 17 subcategories and 6 upper categories were found. These were categorized and structured. When analyzing the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met their partners and ‘shared goal consciousness’ each other. Second, by accumulating various positive experiences, they built four types of strong ‘trust’. Third, ‘behavior of trust maintenance’ was influenced by various stimulation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Finally, a ‘harmonization’ of partnerships developed. Conclusion: Several of the concepts investigated were found to exist multidimensionally as the process of partnership developed over time. We suggest that a theoretical verification for the process of developing partnership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