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 “你什么时候来了?”와 같은 ‘의문사+VP+了’ 형식의 표현은 ‘是……的’ 구문의 오류 유형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는데, 사용 맥락과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기도 한다. 의문사와 ‘了’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은 ‘是…… 的’ 구문과 비교해 볼 때, 초점 범위와 담화 전제에 차이를 보이며 본질적으로 상이 한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了’는 의문사 구문의 초점 구조를 재 편성하며, 주로 ‘의외성’과 ‘반문’의 의미를 함축한 간접화행으로 실현된다. 화용적 측 면의 역할에 맞춰 ‘是……的’ 구문과 ‘의문사+VP+了’ 구문을 이해하자면, 전자는 정 보의 전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감정과 태도의 전달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각 담화적 필요에 의한 사용이라는 점을 강조한 이러한 분석은 학습자에게 서 자주 보이는 ‘了’의 대치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차별적 활용 원리를 제시할 수 있 으며, 문법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화용적 맥락의 인식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 한다.
중국어에서 수량구는 생략될 경우 비문이 되는가 하면 특정한 언어환경에서는 사 용이 제한될 때도 있다. 본고에서는 ‘数量+名’ 형식의 수량목적어를 주요 논의 대상 으로 하며, 일부 구문에서 출현에 제약이 따르는 것과 관련해 중국어의 수량구가 지 닌 본질적 속성을 토대로 이들의 사용과 제약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他正在喝一 杯咖啡’와 같이 진행형과 수량구가 공기한 문장이 모국어 화자의 어감상 어색한 표 현인 이유와 독립된 문장으로서 수용도가 낮은 까닭은 발화 의도의 모호함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수량이 초점으로 작용하지 않는 문맥에서 정보의 현 저성에 있어 수량적 의미보다는 지시물 자체의 상태가 활성화되는 경우, ‘有界’와 ‘无 界’의 상대적 개념에 근거해 목적어의 ‘界(경계성)’ 성격이 약화됨으로 진행형과도 공 기 관계를 이루는 것을 설명하였다.
Generally speaking, classifiers xie(些) and dian(点) only involve the unspecified quantities of objects, and can not be used to describe the objects’ features and properties. However, when used in reality, xie(些) and dian(点) can co-occur with other classifiers by forming the construction like “(yi) xie(些)/dian(点)+X+N”. Since there is a tendency to make the expression alive, vivid and concrete, this new type of construction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is tendency. Along with the wide use of this construction, the relation between “(yi) xie(些)/dian(点)” and “X” becomes more and more tight, and starts to fossilized. Especially the classifier “ge (个)”, it can appears relatively free in this structure, and the function of “ge(个)” is to make the structure of “(yi) xie(些)/dian(点)+N” discrete. Besides, in some circumstance, “ge(个)” in the structure of “(yi) xie(些)/dian(点)+ge(个)+N”is mandatory in the usage; sentence would be ungrammatical without “ge(个)”. Moreover, this paper will discuss the effect of this new construction on “N”and the whole sentence. And also will point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yi) xie(些)+X+N” and “(yi) dian(点)+X+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