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adding acorn pomace dried powder (APDP) at different levels (0%, 5%, 10%, 15%, 20% w/w) on the quality, antioxidant potential, and consumer preference of garaetteok, a Korean rice cake. The findings showed that as the APDP content increased, moisture levels decreased, and pH levels were affected. Color analysis revealed a decrease in lightness (L), while yellowness (b) and redness (a) values increased. Texture analysis indicated an increase in gumminess, hardness, and chewiness, but a decrease in cohesiveness,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with higher APDP levels. Sensory evaluation of appearance, taste,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identified the sample with 10% APDP as the most preferred. Additional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araetteok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creasing APDP content. In conclusion, the incorporation of 10% APDP enhanc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tteok, improving its nutritional value, antioxidant properties, and overall consumer appeal.
        4,000원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corporating chestnut inner shell powder (CISP) at varying levels (0%, 3%, 6%, 9%, and 12% w/w) on the quality, antioxidant potential, and consumer preference of garaetteok, a Korean rice cake. Findings revealed a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and pH with increasing CISP content. Color analysis indicated a reduction in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values, while redness (a) values increased. Textural properties displayed an increase in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but a decrease in springiness,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with increasing CISP levels. Sensory evaluation for appearance, taste,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revealed the sample containing 6% CISP to be the most favorable. Moreov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araetteok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creasing CISP content. In conclusion, incorporating 6% CISP resulted in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for garaetteok development, offering enhanced nutritional value, antioxidant properties, and overall consumer preference.
        4,000원
        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콘크리트포장은 타설 후 온도와 습도 같은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해 부피변화를 일으킨다. 만약 이러한 부피변화가 하부지반이나 인접 구조물로부터의 마찰과 같은 외부구속 요인, 단면 내 온·습도의 비선형 분포와 같은 내부구속 요인에 의해 구속을 받게 되면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초과하면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고 구속조건이 과대한 콘크 리트포장의 경우 환경하중에 의한 구속응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타설 후 수일 이내에 다수의 횡방향 균열을 일으키게 되며, 이러한 균열은 궁극적으로 스폴링(spalling)이나 펀치아웃(punchout)과 같은 콘크리트포장 파손 및 내구성능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나은 콘 크리트포장의 장기공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포장의 구속응력 발현을 정확히 예측하고, 이와 관련된 설계 인자들의 적절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포장의 응력과 관련된 요소들인 크리프와 빌트인컬링(built-in-curling)이 구 속응력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실험과 계측 결과의 이론적인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크리프의 영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반면에, 빌트인컬링의 영향은 급격히 감 소하여 콘크리트포장 타설 후 30일 이내에 대부분 소멸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콘크리트포장 체를 완전탄성체로 간주하고 콘크리트 경화시의 온 ․ 습도 분포가 단면에 걸쳐 균일하다고 가정하는 기존 포장설계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콘크리트포장 설계 및 시공을 위한 중요한 정보 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