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水稻) 주요(主要) 품종(品種)들의 분설상태(分薛狀態)에 따른 수도(水稻)의 생육변이(生育變異)와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변이양상(變異樣相)을 검토(檢討)하고 품종간(品種稈)의 반응(反應)을 비교(比較)하기 위해서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삼강(三剛)벼와 칠성(七星)벼와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낙동(洛東)벼와 팔공(八公)벼를 공시(供試)하여 pot당(當) 분설경수(分薛莖數)를 분설(分薛)되는 순서(順序)에 따라 1, 4, 7, 10 그리고 13개(個)씩 확보(確保)한 후(后) 출수후(出穗后) 20일(日)까지 과다분설경(過多分薛莖)을 인위적(人爲的)으로 제거(除去)하여 재배(裁培)한 후(后)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분설경수(分薛莖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주당수량(株當收量)은 감소(減少)되었으나 총수량(總收量)은 증가(增加)되었고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인 등숙율(登熟率), 천립중(千粒重)은 수수(穗數)가 10개(個)일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개(個)일때는 품종(品種)에 상관(相關)없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분설경수(分薛莖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간장(稈長)은 낙동(洛東)벼, 칠성(七星)벼, 삼강(三剛)벼는 증가(增加)하였으나 팔공(八公)벼는 간장(稈長)의 변이(變異)에는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분설경수(分薛莖數)에 따른 지엽(止葉)의 길이는 분설경수(分薛莖數)가 1개(個)일때 지엽(止葉)의 길이가 짧아졌다. 분설경수(分薛莖數)가 l개(個)일때에는 여러개(個)에 비(比)해 출수기(出數期)가 지연(遲延)되는 현상(現像)을 나타내었지만 분설경수(分薛莖數)가 4개이상(個以上)일때는 출수기(出穗期)의 차이(差異)를 뚜렷하게 볼 수가 없었다. 한편 출수소요기간(出穗所要期間)은 품종간(品種間)의 차이(差異)는 뚜렷하였지만 분설경수(分薛莖數)에 의(依)한 변이(變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확지수(收穫指數)는 품종간(品種間)에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칠성(七星)벼와 삼강(三剛)벼가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팔공(八公)벼와 낙동(洛東)벼 보다 높았고, 분설경수(分薛莖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수확지수(收穫指數)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경쟁반응지수(競爭反應指數)와 등숙율(登熟率)과 수확지수간(收穫指數間)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나타내었으며 경쟁지수(競爭指數)와 수장(穗長)과 수량간(收量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4,000원
2.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할발생조건(胴割發生條件)에 대(對)한 미립(米粒)의 형태(形態)나 성분함량(成分含量)의 영향(影響)을 알고저 비료시용방법(肥料施用方法)을 달리하여 재배(裁培)한 벼의 동할립(桐割粒)과 건전립(健全粒)을 구분(區分)하여 분석(分析)해본 결과(結果) 동할발생(桐割發生)은 삼강(三剛)벼가 락동(洛東)벼보다, 만기수확구(晩期收穫區)가 적기수확구(適期收穫區)보다 많았으며 3요소외(三要素外)에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병용함으로서 동할율(桐割率)이 감소(減少)되었다. 동할립(桐割粒)은 건전립(健全粒)에 비(比)하여 천립중(千粒重) 및 미립(米粒)의 체적(體積)(립장(粒長)립폭(粒幅)립후(粒厚)), 립장(粒長), 립장(粒長)/립폭(粒幅)이 컸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미립(米粒)의 립장(粒長)/립폭비(粒幅比)가 큰 삼강(三剛)벼가 락동(洛東)벼보다 동할율(胴割率)이 높았다. 동할(胴割)이 비교적(比較的) 잘 되는 삼강(三剛)벼는 미립내(米粒內)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낮았고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았으며 동할(胴割)이 잘 안되는 락동(洛東)벼는 그 반대(反對)이었다. 그래서 삼강(三剛)벼는 미립내(米粒內) 규인비(珪燐比)가 낮았고 락동(洛東)벼는 높았으며 비료삼요소(肥料三要素)에 규산(珪酸)을 시용(施用)함으로서 그 함량비(含量比)를 높일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