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Strigolactone은 토양균의 하나인 Arbuscular mycorrhizal 균과의 공생적 작용은 물론, 식물 지상부의 곁가지 생성을 억제하는 식물 호르몬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Strigolactone이 목화에서 확인되어 Strigol로 명명된 이후, 지금까지 약 15종 이상의 Strigolcatone이 숙주 식물과 비숙주 식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Strigolactone은 모핵이 되는 tricyclic-lantone(ABC-ring)에 methyl butenolide(D-ring)이 enol ether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자극하는 활성으로 작용한다. 특히, Strigolactone의 C-D ring구조와 AB ring의 치환기가 뿌리기생식물의 발아자극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Strigolactone 단독처리를 통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두 종류 이상의 Strigolacto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rigolactone 혼합물에 대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뿌리기생식물로 알려진 Orobanche minor와 Phelipanche ramosa 종자를 이용하여, solanacol, solanacyl acetate, orobanchol, orobanchyl acetate 및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뿌리기생식물 종자는 평상시 휴면 상태로 존재하므로, 실험 전에 휴면 타파처리인 Conditioning을 실시한 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Strigolactone 혼합물은 10-13M~10-7M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과 negative control로는 합성 Strigolactone인 GR24와 Milli-Q를 각각 사용하였다. 뿌리기생식물 orobanche minor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igolactone 혼합물의 활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epi-solanacyl acetate 혼합물의 경우 다른 혼합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다른 뿌리기생식물 phelipanche ramosa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에서도 각 처리구에서 뚜렷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Strigolactone은 토양균의 하나인 Arbuscular mycorrhizal 균과의 공생적 작용은 물론, 식물 지상부의 곁가지 생성을 억제하는 식물 호르몬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최초의 Strigolactone이 목화에서 확인되어 Strigol로 명명된 이후, 지금까지 약 15종 이상의 Strigolcatone이 숙주 식물과 비숙주 식물로부터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Strigolactone은 모핵이 되는 tricyclic-lantone(ABC-ring)에 methyl butenolide(D-ring)이 enol ether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를 자극하는 활성으로 작용한다. 특히, Strigolactone의 C-D ring구조와 AB ring의 치환기가 뿌리기생식물의 발아자극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이는 Strigolactone 단독처리를 통한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은 두 종류 이상의 Strigolactone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trigolactone 혼합물에 대한 뿌리기생식물 종자의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뿌리기생식물로 알려진 Orobanche minor와 Phelipanche ramosa 종자를 이용하여, solanacol, solanacyl acetate, orobanchol, orobanchyl acetate 및 각각의 입체이성질체 혼합물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조사하였다. 두 종류의 뿌리기생식물 종자는 평상시 휴면 상태로 존재하므로, 실험 전에 휴면 타파처리인 Conditioning을 실시한 수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Strigolactone 혼합물은 10-13M~10-7M로 처리하였으며, positive control 과 negative control로는 합성 Strigolactone인 GR24와 Milli-Q를 각각 사용하였다. 뿌리기생식물 orobanche minor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을 측정한 결과, Strigolactone 혼합물의 활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2’-epi-solanacyl acetate 혼합물의 경우 다른 혼합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다른 뿌리기생식물 phelipanche ramosa 종자에 대한 발아자극활성에서도 각 처리구에서 뚜렷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3.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aculty of Education of Nagasaki University started exchange programs with Chinese and KoreanUniversitieswhenwefounded Center for the Study of Peace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Nagasaki University is located in the place which was completely destroyed by an atomic bomb at World War II. Because of that, Nagasaki University hopes that we can contribute to the world peace. We believe that our students start to think about "the peace" by themselves while they are working on our exposure programs for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4.
        199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sent anticancer drugs in the clinical side have not showed a conclusive effect of the chemotherapy for cancer patients. In order to find much more efficient antitumor agents fromnatural resources, various screening methods vivo and in vitro have been developed by manyresearchers. The intention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utline of some background on the tumorsystem in drug development of natural products, to review some screening programs for theevaluation of antitumor activity and to introduce the practical procedures of some antitumorscreening methods in vivo and in vitro.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current literatures related toantitumor natural products from higher plants at our laboratory are described.Key words'anticancer drugs, screening methods.
        5.
        199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 many anticancer drugs are applying in the clinical side, but there is no conclusive effect of such a chemotherapy. Development ofnovel clinical useful anticancer drugs would be dependenton the screen-ing system and its test sample sources. So, it is necessary to outlinesome background on the tumor systems which have been used for screen-ing. This paper describes mainely on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program for anticancer screening systems, because the large number ofcompounds have been screened at NCI prograB and their relationship ofassesment between experimental animals and clinical Patients has beendiscussing and the uniform screefing protocols for various tumorsystens. At the end of this paper, some literatures of antitunor substances from various higher Plants at our laboratory are sh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