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대강사업으로 이미 조성된 팔당 물안개공원을 재생하기 위해 허브 주제원을 도입 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주로 물리적 측면에서 다룬 내용이다. 기존공원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으로 현 공간구조를 오방(五方)의 전통적 장소 맥락에서 재해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단위 공간별 주제를 조직화하고 허브 식재방식과 시설요소를 ‘두텁게 하는 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새롭게 도입될 주제원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장치요소를 제안함으로써 이용자와 환경 간에 다양한 감성 교류와 공감 강화를 겨냥하였다. 한편 입지특성에 의해 오랫동안 공공복지 관련 개발행위조차도 제한되어 온 계획대상지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수도권 수변 휴양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와 공공복지활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였다. 계획수립에 따른 예상효과가 상부 기관으로부터 인정받아 해당 예산을 이미 확보한 본 사업은 2022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바, 본 사업의 충실한 질적 완성을 기대한다.
        4,000원
        2.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recent trend where crime types are being diversified along with urban expansion, we are facing the reality of a ‘taking-it-out-on-somebody’ crime, which targets the public rather than a specific person with criminal intent, like a ‘random target crime.’ A park, which is a public space for urban dwellers’ and residents’ leisure and rest in the midst of social changes, can be called the spot where various crimes occur. This is because it is a space without boundaries, available for the influx of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thus making it difficult to specify users. For the purpose of keeping a park safe from crime and providing users with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carried out its research to get basic knowledge of the introduction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oncept in park development. The park development guideline contents are analyzed based on the six principles of CPTED theory as per the space composition element of a park.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a problem was that most guidelines applied to the space composition element of a park were fragmentary in applying the six principles of CPTED theory, and were focused on arrangement and installation of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