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에서 발견되는 곤충이물은 제조단계와 유통, 소비단계 유입으로 대별된다. 식약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5332건 이물신고 건수의 34.3% 인 1830건이 곤충이물이며 이중 조사, 판정 불가 56%, 제조단계 6.5%를 제외한 49.4%가 소비, 유통 단계에서 유입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통, 소비단계에서의 곤충 이물 유입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소비자 트랜드 변화, 유통, 물류 시스템 변화 등의 요인과 결합되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제품 생산 후 제품이 물류센터, 특약점, 도, 소매점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고 소비자 사용 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원인 제거는 불가능 하다. 따라서 현재로써는 방충포장을 통해 곤충오염 리스크를 줄이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 중 제품으로 유입되는 곤충을 제어하기 위해 생산비 증가와 식품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천연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방충박스포장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약 770만 제품박스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 해충클레임이 6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충포장 상용화 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천연기피물질을 이용한 방충포장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저장해충에 대한 방충효과를 시험하였다. ㈜농심의 라면포장 박스의 접착제로 사용되는 핫멜트에 0, 2%의 기피물질을 처리하고 화랑곡나방에 대한 방충효과를 시험한 결과, 2% 기피물질이 처리된 방충 핫멜트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 화랑곡나방 개체수는 박스외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df=30, t=0.56, P>0.05), 박스의 골판지 틈새(df=30, t=6.78, P<0.05)와 박스내 부(df=30, t=2.45, P<0.05)에서는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으며, 무처리구와 처리구 박스내부 전체(박스내부+ 골판지 틈새)와 박스 전체에서 발견된 화랑곡나방 개체수도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내부전체: df=30, t=13.58, P<0.05, 박스전체: df=30, t=13.60, P<0.05). 화랑곡나방 유충이 발견된 위치는 무처리구와 처리구 모두에서 박스외부가 가장 적었으며, 박스내부와 골판지 틈새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처리구에서 유의하 게 적게 발견되었다.
식품에서 발견되는 곤충이물은 크게 제조단계와 유통, 소비단계에서 유입으로 대별된다. 식약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5332건 이물신고 건수의 34.3% 인 1830건이 곤충이물이며 이중 조사, 판정 불가 56%, 제조단계 6.5%를 제외한 49.4%가 소비, 유통 단계에서 유입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통, 소비단계에서의 곤충 이물 유입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와 소비자 트랜드 변화, 유통, 물류 시스템 변화 등의 요인과 결합되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실제로 전국 8개소의 물류창고에서의 화랑곡나방 모니터링 실시 결과 주변환경 보다는 반품창고로부터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 이산화염소 가스를 이용하여 훈증실험을 한 결과 곤충, 곰팡이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통 중 제품으로 유입되는 곤충을 제어하기 위해 천연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방충포장소재를 약 770만 제품박스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 해충 클레임이 6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