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구둑이 형성되지 않은 자연 하천을 유지하고 있는 섬진강 하구의 어류상을 조사하고 주요 어종의 개체군 생태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섬진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류는 13목 26과 68종이었으며 전체 우점종은 큰줄납자루 (37.4%), 아우점종은 황어 (10.5%)였고 피라미 (8.4%), 주둥치(5.1%)순으로 개체수가 많았다. 회유성 어종은 뱀장어, 황어, 은어, 연어, 숭어, 점농어, 민물검정망둑 7종이 출현하였고 한국고유종은 임실납자루와 칼납자루 등 20종이었다. 상류 담수역에서는 8과 35종이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큰줄납자루 (38.2%), 아우점종은 참중고기 (11.5%)였으며, 하류 담수역은 13과 37종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큰줄납자루 (48.5%), 아우점종은 피라미(13.0%)였다. 하구의 기수역은 19과 34종이 확인되었고 우점종은 황어 (42.6%), 아우점종은 주둥치 (13.2%)로 나타났다. 누치 등 주요 종에 대한 개체군 건강도 지수는 하구둑이 설치된 낙동강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나 하구둑 조성이 없는 섬진강 어류 집단이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본다.
        4,000원
        2.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금강하구둑과 관련하여 금강에 서식하는 참게(Eriocheir sinensis)의 이동과 산란을 알아보기 위해 2007년 5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금강 수계에서 조사하였다. 참게의 유생은 5월에 기수역에서 채집되었으나, 이후 치해로 변태하여 소상하는 개체들은 채집되지 않았다. 산란을 위해 참게들이 금강하구에 도달하는 시기는 9월 초순이었고, 3월부터 4월 사이에 산란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기수에서 부화한 참게의 유생이 치해로 변태하여 담수로 이동하는 통로를 만들어 준다면, 금강 수계의 자연산 참게 복원이 제한적이나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asurements of closely related sets of classical and truss dimensions were analyzed to discriminate species of scorpaenidae including the dark banded rockfish, Sebastes inermis, the black rockfish, S. schlegeli, and gobioninae including the striped shiner, Pungtungia herzi, and the slender shi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The measurements of the dimensions were arc sin square root transformed, and compared as a function of the standard length of each species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value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2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classical dimensions of the shiners, 9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2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1 valu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rockfish, 6 were greater for the dark banded rockfish than for the black rockfish, 1 was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4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For values of the truss dimensions of the shiners, 13 values were greater for the striped shiner than for the slender shiner, 3 values were smaller for the former, and for 6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The dimension sets us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taxonomic indicators for discriminating among fish specie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