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방사선치료는 일반적으로 외부방사선치료와 병행하여 수행되고 치료단계가 매우 복잡하며 이로 인 해 방사선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근접방사선치료에 사고유형과 영향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방법을 적용하여 프로세스 맵을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치료단계에 대한 위해도를 산출하였다. 프로세스 맵은 “외래 및 진료”와 “근접방사선 모의치료”, “CT 모의 치료”, “근접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로 총 5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치료단계를 세분화하여 세부단 계를 작성하였다. 위해도를 산출하기 위해 의사와 의학물리사, 선량설계사, 방사선사, 간호사가 참여하여 세부단계마다 발생빈도와 심각도, 불검출도를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프로세스 맵은 각 치료단계마다 환 자 신원 확인 절차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며, 이는 다른 환자로 오인하여 서로 다른 치료계획이 수립되어 방 사선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프로세스 맵을 기반으로 작성한 세부단계에 대해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전반적으로 “외래 및 진료”와 “근접방사선치료계획” 과정이 높은 위해도로 평가되었다. 직종마다 평가한 위해도는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간호사는 방사선치료를 제외한 모든 과정이 55점 이상의 위해도를 보였으며, “근접방사선 모의치료” 과정이 88.8점으로 가장 높았다. 방사선치료를 수행하는 의료기관마다 치 료단계가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기관에 대한 프로세스 맵을 작성하고 위해도를 산출하여 중점관리 항목을 집중적으로 리스크 관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Undulatum Rhubarb, commonly produced in domestic, is rhizome of Rheum undulatum L. that belongs to the family Polygonaceae. It also can be used as a substitute of R. palmatum L., R.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and R. officinale Baillon which completely depend on import system. However, there should be clear clarification among Undulatum Rhubarb and Rhubarb, because Undulatum Rhubarb contains rhaponticin as marker compound that is not indicated at Rhubarb. Some of the recently imported Undulatum Rhubarbs have been found to be Rhubarb. Also, it is known that only Undulatum Rhubarb is cultivated at domestic environment. But some plant origins of Rhubarb are grown in Korea, too. Further study are needed to clarify clear origin between Undulatum Rhubarb and Rhubarb. Thus, we collected some domestically cultivated samples and identified them. Methods and Reseults : Rheum undulatum L., Rhubarb, Rheum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which were cultivated i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Cheorwon were collected and anayzed the DNA sequences. We also compared DNA sequences in Rhubarb collected from England and R. rhabarbarum L., R. undulatum L., and R. franzenbachii on NCBI. As a result, two kinds of rhubarb cultivated in the test plantation were identified as R. rhabarbarum and R. officinale. In addition, R. undulatum (plant origin of Undulatum Rhubarb) was identified as Rhubarb (Rheum rhabarbarum) in England with 99 - 100% identical in nuclear ITS gene region. Conclusion : R. undulatum, plant origin of Undulatum Rhubarb, is reported as synonym of R. rhabarbarum, R. franzenbachii. Rheum speices which are cultivated as tester in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Cheorwon are estimated as R. undulatum and R. officinale. Therefore, not only Undulatum Rhubarb but Rhubarb could be grown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