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Ajuga multiflora BUNGE (AMB) extract on the toxicity of lead acetate (LA), environmental pollutan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XTT assay using cultured NIH3T3 fibroblasts. And also, the effect of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on LA-induced cytotoxicity was analysed. For the protective effect of AMB extract on LA-induced cytotoxicity, NIH3T3 fibroblasts were pretreated with 80 or 90 μg/mL of AMB extract for 2 hours before the treatment of LA. And also,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B extract against LA-induced cytotoxicity were assessed by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LP). In this study, L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dose-dependently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n XTT50 value was determined at 46.1 μM of LA. In the effect of BHT against LA-induced cytotoxicity, it effectively prevented toxic effect of LA by the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AMB extract on LA-induced cytotoxicity, i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which was decreased by LA-induced cytotoxicity, and also it showed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cytotoxicity of LA is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and AMB extract effectively prevented the cytotoxicity induced by LA via an antioxidative effect. Conclusively, the natural substance such as AMB extract may be alternative resource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2.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소리쟁이(Rumex crispus L.) 추출물이 환경오염원인 염화카드뮴(CdCl2)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NIH3T3 fibroblast)를 재료로, 이의 항산화(antioxidation) 및 멜라닌화(melanogenesis)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CdCl2는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01), 이 과정에서 XTT50값은 45.7μM로 측정되었다. 또한, 이 값은 Borenfreund and Puerner에 의한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vitamin E는 CdCl2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CdCl2의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CdCl2의 세포독성에 대한 소리쟁이 추출물의 영향에 있어서는, 소리쟁이 추출물은 CdCl2만의 처리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p<0.001), 또한 DPPH-라디칼 소거능(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의한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멜라닌화에 있어서, 소리쟁이 추출물은 CdCl2에 의하여 증가된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과 총멜라닌양을 모두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CdCl2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소리쟁이 추출물은 항산화능에 의하여 CdCl2의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또한 소리쟁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 활성과 총멜라닌양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화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리쟁이와 같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CdCl2 처럼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중금속계 환경오염원의 독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탐색 및 개발은 이의 활용적 가치가 크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