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측지성 수분수용 사과 품종 개발을 위해 ‘홍로’를 자방친, ‘메이폴’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한 교배실생을 조사·선발하여 ‘팅커벨’로 명명,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 등록을 완료하였다. ‘팅커벨’ 육성 과정은 2003년에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9년까지 과실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1차 선발하였다. 계통명 ‘03-2-095’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과일특성 및 주요 품종과의 교배친화성을 평가한 후 최종 선발하였다. ‘팅커벨’은 대조품종 ‘메이폴’에 비해 만개기가 약 2일 정도 늦고, 수세가 약하고 가지 발생이 거의 없는 무측지성을 보인다. 대조품종 ‘메이폴’의 과형이 ‘타원형’인데 비해 ‘팅커벨’의 과형은 ‘넓은 타원형’이다. ‘팅커벨’은 117g으로 ‘메이폴’보다 과실이 크고, 과피가 매끈하며 과분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팅커벨’의 당도는 12.3oBx로 ‘메이폴’ 10.7oBx 보다 높고, 산도는 1.2%로 ‘메이폴’ 1.8% 보다 낮아서 당산비가 ‘메이폴’ 보다 개선되었다. 주요 품종 과의 인공교배시 착과율은 ‘후지’ 90.8%, ‘홍로’ 94.9%, ‘쓰가루’ 71.0%로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수폭은 70cm이므로 사과 밀식재배체계에 아주 적합한 수분수용 신품종으로 판단된다.
        3,000원
        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pple is a typical climacteric fruit, whose loss of firmness during storage is associated with internal levels of ethylene. MdACS1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synthase) and MdACO1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genes are characterized well as functional markers for the ethylene production of ripening apple fruit. Presence of two alleles for each gene are commonly reported in cultivated apples. MdACS1-1/1, 1-1/2 and 1-2/2 generally induce high, medium, and low ethylene production, respectively. Homozygosity of MdACO1-1 resulted in low levels of ethylene production than MdACO1-1/2 and 1-2/2. It was reported that cultivars homozygous for MdACS1-2 and MdACO1-1 had superior shelf-life with lowest ethylene production. In this study, genotypes of 42 apple cultivars including Korean-developed ones at MdACS1 and MdACO1 loci were determined. Polymorphisms were detected by PCR and were separated by electrophoresis in a 2.0% agarose gel. Of PCR products of MdACS1, the fragrament of 490 bp was corresponded to the MdACS1-1 allele and 640 bp corresponded to the MdACS1-2 allele. ACO1-1 and ACO1-2 alleles had the fragment size of 525 and 587 bp, respectively. The 42 cultivars could be grouped into three classes to each gene, MdACS1-1/1, MdACS1-1/2 and MdACS1-2/2; MdACO1-1/1, MdACO1-1/2 and MdACO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