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의 삶이 연장되고 있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베이비 부모들의 은퇴와 빠른 인구 고령화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의 수가 증가하 고 있고, 이로 인해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산업이 발달하고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국 각지에 위치하고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노인복지관도 이러한 복지산업과 서비스제공 중 하나이다. 의 부분이다. 노인복지관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련하여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가 많지 않 은데,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교육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는 강사가 노인들을 진실하게 대하는지 여부가 그 노인들이 인식하는 대인공정성과 조직지원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노인들 이 평가하는 노인복지시설 서비스품질이 이러한 강사의 진실성여부가 미치는 영향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2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사 비진실성이 증가할수록 노인들의 대인공정성 인 식수준이 낮아지고 나아가 노인들의 조직지원인식의 수준도 결과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이 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강사의 비진실성과 노인들의 조직 지원인식의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운영의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는 조직지원인식이 어떤 과정과 맥락을 바탕으로 형성되는지 알려 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였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요즘 사회적인 이슈로 많이 대두되고 있는 서비스 종업원들의 감정 노동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먼저 감정노동의 하부차원인 표면행위(surfaceacting)와 내면행위(deepacting)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직무과부하(workoverload)를 제시하여 이들간의 유의적 관계가 있는가에 대해 파악하였다.또 서비스 종업원이 경험한 감정노동이 종업원의 감정적,인지적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감정적 고갈(emotionalexhaustion)을 매개변수로 제시해,종업원들의 직무만족(jobsatisfaction)이나 조직몰입(organizationalcommitment)에 결과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가설을 제시하여 검증하였다.특히 종업원의 감정노동(emotionallabor)과 감정적 고갈(emotionalexhaustion)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 서비스 종업원들이 인식하는 직무 불안정성(jobinsecurity)을 제시하여,이 변수의 변화에 따라 감정노동과 감정적 고갈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 검증하였다.본 연구를 위해 국내에 소재한 은행에 종사하는 서비스 종업원들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분석결과 직무 과부하는 서비스 종업원의 표면행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내면행위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음으로 감정노동과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적 고갈간의 관계를 보면,표면행위는 감정노동을 증가시키지만,내면행위는 감정노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서비스 종업원이 지각하는 직무 불안정성은 종업원이 표면행위가 감정적 고갈에 미치는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며,내면행위가 감정적 고갈에 미치는 효과는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마지막으로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적 고갈은 직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종업원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영향요인과 결과 변수들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감정노동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근로자를 위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봉사원들을 위한 안전교육이 어떻게 그들의 업무관련부상에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안전교육이 직속상사의 인간 중심적 배려행동과 상호작용을 통해 가정봉사원들의 업무관련부상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하여 노인들을 위해 일하는 282명의 가정봉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