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ur different rice varieties, Sindongjinbyeo, Dongjin #1, Saegyehwabyeo, and Iksan 467, were transplanted under three different nitrogen levels and two different seedling numbers per hill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panicle traits under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and to propose the ideal panicle structure in Japonica rice. Sindongjinbyeo and Iksan 467 were characterized by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PRBs) per panicle and more grains on PRB than other cultivars. The two varieties also had fewer secondary rachis branches (SRBs) per PRB and fewer grains on SRB per PRB. These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resulted in higher ripened grain rate, contrary to that of Dongjin #1 and Saegyehwabyeo.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PRB number per panicle and grain number on PRB per panicl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while SRB number per panicl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ipened grain rate. Therefore, the number of grains on PRB per panicle, SRB number per PRB and the number of grains on SRB per PRB wer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determining and achieving higher ripened grain rate in rice. High ripened grain rate over 90% was obtainable with over 12.5 PRBs per panicle and 63 grains on PRB per panicle, and with under 1.7 SRBs per PRB, 5 grains on SRB per PRB, 130 grains per panicle, and 14 panicles per hill. The study recommended that for over 90% high ripened grain rate, the critical limiting factors should be under 2 SRBs per PRB, 6 grains per PRB, and 130 grains per panicle, irrespective of the PRB number per panicle and the number of grains on PRB.
        9.
        198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얼하는 옥수수 교잡종 (IK//1R1/B68)의 잎이 분얼하지 않는 옥수수(진주옥)의 잎과 길이나, 폭 또는 면적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기위해 주경 또는 분얼경의 지엽으로 부터 아래로 9개 잎을 수확기에 취하여 엽장, 엽폭, 엽면적을 측정하였다. 1. 개체당 주경의 평균 엽장은 IK형 (IK//IRI/B68)이나 진주옥이 거의 같았으나 평균 엽폭은 IK형이 진주옥보다 약 2cm 좁았다. 평균 엽면적 역시 IK형이 적었는데 그 이유는 엽폭이 좁았기 때문이었다. 2. IK형 옥수수에서 주경과 분엽경간의 잎특성(장, 폭. 면적)은 서로 비슷하였다. 3. IK형 옥수수는 착수절 바로 아래 절의 잎이 가장 길었고 착수절 바로 위의 잎이 가장 넓었다. 4. IK형 옥수수 잎의 절입별 병이계수를 비교한 결과 착수절을 포함한 착수절 근처 잎이 변이계수가 가장 낮았고, 착수절에서 멀리 떨어진 잎일수록 변이계수의 값이 컸다. 특히 정엽의 변이계수는 다른 잎들보다 훨씬 컸다. 이같은 경향은 주경과 분얼경의 잎이 모두 같았다. 5. 기존의 공식(장 폭 0.75)에 의해 추정한 엽면적보다는 직접 측정한 엽면적이 컸다. 따라서 IK형 옥수수의 엽장과 엽폭에 의한 엽면적 추정은 기존의 0.75 대신에 0.80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