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강연작재배지 토양에 녹비작물의 재배가 토양 양분의 변 화와 뿌리썩음병원균 경감효과를 알기위해 헤어리베치, 크림 손클로버, 오차드글라스를 80일간 재배 후, 토양에 환원하여 토 양분석 및 real-time PCR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 물의 생육은 크림손클로버가 가장 좋았으며, 질수흡수량은 크 림손클로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의 인산함량은 오차 드글라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T-N 함량은 헤어리벳치 > 크 림손클로버 > 오차드글라스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내 뿌 리썩음 병원균 밀도분석을 위해 Pythium zingiberum 균 특이 5.8S rDNA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분석한 결과 헤어리베 치, 오차드그라스 및 크림손클로버 처리의 Ct값은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볼 때 생강연작재배지에 서 녹비처리 후 토양은 대조구에 비해 EC가 감소되고, 몇 몇 무 기성분은 증가하였으며, 뿌리썩음 병원균 밀도는 감소하였다.
        2.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 내 토마토 연작장해 경감을 위해 단기 녹비작물 재배가 토마토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토마토 시설재배지에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단파 및 혼파로 구분하여 파종하였으며, 생육된 녹비작물의 양분공 급량과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그리고 녹비작물 환원 후 후작물인 토마토의 생육특성 및 토마토 시들 음 병원균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녹비작물의 질소(N), 인(P2O5), 칼륨(K2O), 칼슘(CaO) 및 마그네슘(MgO) 공급량은 헤어리베 치의 경우 각각 26.2, 5.8, 10.2, 6.6, 및 1.5 ㎏/10a였으며, 호밀 은 각각 9.1, 4.2, 11.8, 3.8, 및 3.1 ㎏/10a였고, 혼파의 경우는 단파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마토 시설재배지에서 녹비작물 의 토양환원 전・후 토양의 pH는 대조구와 별다른 차이 없이 6.37-6.52 범위였으며, EC는 헤어리베치(2.64 dS/m) 및 호밀 (2.62 dS/m) 처리가 대조구(헤어리베치-2.80 dS/m, 호밀 -2.91 dS/m)에 비해 낮았다. 토양 중 유기물, T-N 및 avail. P2O5 함량은 녹비작물 처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이 었다. 녹비작물 토양환원에 따른 후작물인 토마토 생육은 녹비 작물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나, 관행처리 와는 비슷한 생육을 보였다. 또한 녹비처리에서 토마토 시들음 병원균의 밀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토마토 시설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시용은 비료로서 충분 한 가치가 있으며, 녹비작물 토양 환원 후 토양화학성을 개선함 으로써 시설하우스 토마토 연작재배지의 연작장해를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배추 엽색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은 안토시아닌의 합성 유무 또는 축적된 양의 차이에 기인한다. 양배추의 엽 색 관련 분자마커 개발을 위하여 안토시아닌 색소의 축적이 다른 양배추 계통을 이용하여 RNA Seq을 수행하고 분 석하였다. 양배추 시료는 자색양배추, 녹색양배추, 저온에서 안토시아닌 발현되는 양배추, 저온에서 안토시아닌 발현이 없는 양배추를 각 2종씩 사용하여 색 관련 유전자 마커의 선발과 분류를 용이하게 하였다. RNA Seq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토시아닌 합성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자색양배추에서 MYB2, TT8, F3’H, DFR, ANS 유전자의 발현이 많았다. 또한 RNA Seq 데이터를 기반으로 SSR 마커로 활용가능한 프라이머 45개 세트를 선별, 작성하고 PCR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9개의 프라이머 세트를 선발하였다. 그 중 1개를 양배추 F1 품종을 대상으로 검정하여 자색양배추 또는 저온에서 자색을 나타내는 양배추를 구분할 수 있었다. 안토시아닌 합성과 관련된 상 류유전자와 구조유전자들의 게놈 구조를 분석하고 상류유전자 18개, 구조유전자 15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기위 해 각각 33개, 21개 프라이머 세트를 작성하였다.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F3’H, DFR, MYB2, 유전자에서 총 10개의 SNP(Exon 4개, Intron 6개)와 1개의 SSR(Intron)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농촌진흥청․ 산림청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원예종자사업단, 과제번호 : 213003-04-2-SB230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4.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멜론 재배에 있어서 덩굴쪼김병과 더불어 흰가루병은 매우 중요한 병해로 멜론의 생장이나 수량 감소에 크게 영향 을 끼쳐 농가 소득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멜론 흰가루병의 병원균에는 E. cichoracearum 및 S. fuliginea가 보고되어 있으며, 2 종류의 사상균은 발아관의 형태, 피브로신(fibrosin)체의 유무를 관찰함으써 차이점을 판별할 수 있다. E. cichoracearum는 프랑스 및 수단에서 처음으로 발생되어 보고되었지만, 1970년대부터는 S. fuliginea의 발생이 많 이 보고되었고 근년에는 프랑스를 포함하여 미국, 이스라엘,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흰가루병의 주요한 병원균으 로 보고되고 있다. 흰가루병균은 1999년 Bardin 등이 PMR 45, WMR 29, PI 124112, PMR 5, MR-1 등의 판별품종을 이용하여 7개의 Race를 동정하여 발표하였으며, 최근 일본에서는 Race들의 분화에 의해 다수의 Race가 동정되어지고 있다. 그러 나, 우리나라의 경우 Race 1이 광범위하게 발병하고 있다는 것 이외에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멜론 흰가루병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흰가루병균을 안성, 이천, 영암, 순천, 율촌 등에서 수집하여 사상균의 종류 및 판별품종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발병하고 있는 흰가루병 Race 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흰가루병균의 종류는 S. fuliginea였으며, 안성과 이천에서 수집한 흰가루병균은 Race 1뿐만 아니라 기존에 보고된 Race들이 아닌 새로운 Race의 흰가루병균이였다. 이 결과는 국내에도 다양한 흰가루 병 Race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다양한 Race 저항성 품종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4종의 녹비 작물, hairy vetch, Italian ryegrass, crimson clover, orchard grass 등을 도입하여 연작장해를 일으키는 토마토 시설재배지의 토양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였다. 각각의 녹비 작물을 시용한 후, 후 작물로서 토마토를 정식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토마토 건물 중 등을 조사하여 녹비작물 재배의 효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녹비작물 시용에 따라 토양 경도가 감소되었다. Orchard grass와 Italian ryegrass는 토양습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토양 메트릭스에서 더 많이 무효화 시킬 수 있었다. 녹비작물 시용 2개월 후, Italian ryegrass와 orchard grass 처리구에서 토양 건조 밀도가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구와 녹비구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녹비작물로서 Italian ryegrass와 hairy vetch의 시용이 토마토 생육에 영향을 주어 건물중의 증가 및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또한 orchard grass는 상대적으로 적은 바이오메스인데도 불구하고, 토양 개량에 효과적이었다.
        7.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녹비작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감자 더뎅이병균(Streptomyces scabie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함으로서 감자 더뎅이병 경감을 위한 녹비작물 선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10종의 녹비작물에 대하여 hexane, ether, ethylacetate, methanol 및 water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하였다. 그 결과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ether, methanol 및 water 추출물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감자 더뎅이병균(Streptomyces scabiei)에 대한 항균활성은 methanol, ethylacetate, ether 및 water 용매를 이용한 모든 녹비작물 추출물의 0.25 mg/mL 농도에서부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methanol 용매를 이용한 하우스솔고 추출물은 감자 더뎅이병균에 대하여 다른 녹비작물 보다 더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하우스솔고의 이용은 감자 더뎅이병 경감을 위한 최적의 녹비작물로 생각되었다.
        10.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갓 김치용 품종 육성을 위하여 외국 도입종 및 국내 수집종 총 24 계통/품종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유연 관계 및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에 있어서 총 생체중(제1), 총 건물중(제2), 지상부 생체중(제3), 엽장(제4)으로 80.5%의 전체정보를 해석할 수 있었다. Eigen value가 1이상인 주성분을 토대로 24계통/품종은 7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그룹별 종수는 I군이 1종, II군이 6종, III군이 5종, IV군이 3종, V군이 3종, VI군이 4종, VII군이 2종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12개의 F1 조합능 검정용 교배조합 중 Sanchiohbachirimen takana A × Akaohba takana, Goheung namyang × Sanchiohbachirimen takana A 및 Goheung namyang × Akaohba takana 조합에서 잡종강세가 크게 나타났다. 고수량성 갓 김치 품종육성을 위한 친능성(Parents ability)이 높은 교배친으로 Sanchiohbachirimen takana A와 Akaohba takana가 선발되었다.
        11.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차종자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녹차 종자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녹차 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과 비교하였다. 녹차 메탄올추출물기 수소공여능은 농도 이상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녹차종자 메탄올추출물은 농도에서 21.8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종자 및 녹차 메탄올추출물이 농도로 처리된 흰쥐의 간 균질물에서 MDA의 생성량이 대조구의 86 Mol/g에 비하여 각각 60 및 50 Mol/g로 낮게 나타내어
        12.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ough the intergeneric hybridization of pear ´apple, 137 seeds were successfully obtained. The average fruit setting showed about 12.0%. Eighty seeds were harvested from the combination of apple ´pear intergeneric crossing with the 6.4% of fruit setti
        15.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되고 있는 22 페칸종간의 RAPD분석을 한 결과, Agarose gel상에서 primer당 평균 6개의 DNA단편이 증폭되었다. 증폭된 DNA 단편의 크기 는 100bp에서 1500bp의 범위에 위치하였다. 페칸종간의 유연 관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primer를 선발한 결과 OPA-02, OPA-10, OPA-12, OPB-01이 최적이었다. 4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한 PCR산물을 1.5% Agarose gel상에 분획하여 단편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22의 페칸종은 5개의 그룹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40종 primer로부터 증폭된 466 DNA단편을 기초로하여 유전적 근연계수를 계산하였던 결과 유사도 값이 가장큰 것은 C. flacra와 Black walnut로 0.90를 나타났으며, Kiowa와 Red hickor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간에는 유사도 값이 0.31로 가장 작았다. 선발된 4종의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PCR산물을 Polyacrylamide gel상에 분획한 후 검출된 DNA단편을 분석하였다. 유사도 값이 가장 큰 것은 그룹 V의 Red hickor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간으로 1.0이었고, Farley와 Pawnee간과 Sturya와 Clarke간은 공히 0.98를 나타내었다. Polyacrylamide gel분획 후 은염색하여 단편을 검출하는 것은 Agarose gel에 비하여 시간, 기술, 경비가 요구되지만 보다 정확한 유전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Agarose gel 분석, Polyacrylamide gel 분석 및 주성분 분석법에서 Farley, C. tomentosa, C. flacra, Black walnut, C. corpiformis만이 동일 그룹에서 이탈되지 않았다.
        16.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자리공 및 겨자무의 잎추출물을 이용하여 기내배지상에서 몇가지 작물들과의 allelopathy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국자리공 잎의 methanol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시한 모든 작물의 발아율, 근장, 배축장, 초장, 생체중, 건물중, 유묘의 활력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2. 미국자리공의 autoallelopathy는 고농도(50u l 및 100u l) 첨가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3. 겨자무 잎의 methanol 추출물은 공시한 모든 작물의 초기생장량을 유제시키는 효과는 보였으나, 미국자리공의 잎추출물의 효과보다는 높았다. 4. 겨자무 뿌리의 methanol 추출물 처리는 밀, 미국자리공의 배축장을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시켰으나, 나머지 작물은 증가시켰다. 또한 초장도 밀, 고추, 미국자리공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작물에서는 약간 증가하였다. 5. 미국자리공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재출물한 4종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발아율 및 초기생육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다. 6. Ethyl acetate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보다 벼, 보리, 배추의 엽록소 함량을 감소시켰다. 7. Ethyl acetate 분획물 100u l l 첨가시에 배추의 유리 proline의 함량은 31.2배 증가하였으며, 추출물농도가 증가할수록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