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인 감과피를 이용한 버섯배지 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 고자 수행되었으며 감과피는 경상남도 산청지역에서 곶감 을 생산하고 남은 것을 수거하여 건조한 후 사용하였고 공시균주는 ASI 2312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혼합배지:콘코브:톱밥(220:65:15, v/v)을 혼합한 기본배지를 사용하 였고 기본배지 중 혼합배지를 5%, 10%, 15%, 20%, 30%, 40%, 50%의 건조된 감과피 처리구로 대체한 처리 구를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기본배지에 비해 시 험구인 5%, 10%, 15%, 20%, 30%, 40%, 50% 감과피 처 리구의 T-N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C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C/ N율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감과피 첨가량이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 사한 결과 대조구보다 감과피가 첨가된 모든 시험구에서 균사생장이 느리게 나타났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배양 일수는 대조구인 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를 30%까지 첨 가하여도 배양일수와 초발이 소요일수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배양일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 첨가비율이 증 가할수록 갓의 직경은 감소하고 대의 길이는 길어지고 직 경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 후 동결 건조한 큰느타리버섯의 수분, 단백질,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시 험구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지방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β-gluca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10%와 15% 감과피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조구와 비교 했을 때 15% 감과피 첨가구는 자실체 수량도 높게 나타 나고 β-glucan 함량도 높게 나타났기때문에 감과피 첨가 비율은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준농산에서 수거한 느 티만가닥버섯 수확후배지를 Bacillus subtilis EJ3 배양액 과 혼합하여 2주 동안 발효시킨 것을 공시사료로 사용하 였다. 실험동물인 12주령된 Hy-line brown 갈색계 24수는 시판사료 급여구인 대조구(T0)와 5(T1), 10(T2), 15%(T3) 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이 첨가된 시판사료 급여구인 시험구로 나누어 12주 동안 공시사료를 급여하였다. 12주 동안 평균 산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5% 버섯수확후 배지 첨가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0% 버섯수확후배 지 첨가구부터는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 게 나타났다. 산란량과 산란율은 대조구보다는 5% 버섯수 확후배지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12주의 사양시험 기간 동안 난중, 난각강도, 난각두께, 난황색 모두 5% 버 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계란의 내부 품 질을 평가하는 기준인 난황색은 5% 버섯수확후배지 발효 산물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10% 이상 의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을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난황 색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란의 내부 오염 지 표인 육반과 혈반에서는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외 부 품질 기준인 난각색도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 았다. 그러나 계란의 포장과 수송과정에서 계란의 상품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난각중과 난각 두께는 5% 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산물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 다.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산물의 급여구에서 산란계의 가스 발생량은 버섯수확후배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는 당근-녹비 윤작지에서 헤어리베치 및 클림손클로버의 토양환원이 당근의 수량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근재배지에서 전작물로 재배된 녹비작물의 질소(N), 인(P2O5), 칼륨(K2O), 칼슘(CaO) 및 마그네슘(MgO) 공급량은 헤어리베치의 경우 각각 23.8, 12.8, 6.1, 1.7, 및 2.8 kg 10a-1이었으며, 클림손클로버의 경우 각각 4.3, 6.0, 3.5, 1.3, 및 1.3 kg 10a-1이었다. 당근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토양환원 후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밀도는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고, 공극율은 증가하였다. EC는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유기물, T-N 및 avail. P2O5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당근의 장해율은 녹비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장해된 당근의 수량을 제외한 상품수량은 헤어리베치 처리구 (3,733kg 10a-1)가 대조구(2,566kg 10a-1)에 비해 45.5%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당근재배지에서 녹비작물의 시용은 비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녹비작물 토양환원 후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개선함으로써 당근의 상품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의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폐 한방슬러지를 이용한 버섯배지의 첨가제 개발을 행하였다. 폐 한방슬러지는 시내의 한의원에서 무작위로 수거하여 자연건조 시킨 다음 80 mesh정도로 분쇄하여 사용하였으며, 폐 한방슬러지의 일반성분은 AOAC법, 첨가 농도 및 버섯의 균사성장 검토는 평판배지를 제조한 다음, 배지의 중앙에 팽이버섯 균사체를 접종한 후 25℃에서 배양하면서 버섯균사 성장 직경을 측정하였다. 팽이버섯 배지로 사용되는 콘코프, 비트펄프를 비롯한 폐 한방슬러지 등의 수분함량은 10% 미만이었으나 미송톱밥의 경우는 약 62% 정도였다. 미강 및 밀기울 등의 pH는 6.59~7.1의 중성, 한방슬러지, 미송톱밥, 콘코프 및 비트펄프는 pH 4.9~5.4 정도의 약산성을 띄었다. 조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미강은 약 19.7%, 폐 한방슬러지는 4.4~6.4%를 나타내었으나 톱밥, 비트펄프 및 콘코프는 0.5~1.1%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폐 한방슬러지의 조단백 함량은 6.9~10.5로 한방약재의 종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폐 한방슬러지 첨가 평판배지에서의 버섯균사 성장은 배양일 수가 경과됨에 따라 대조구인 PDA평판배지에서 보다 왕성하게 이루어졌으며, 그 첨가농도는 10%첨가 시험구에서 균사성장 속도 및 밀도가 약간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한의원 등에서 배출되는 폐 한방슬러지를 이용한 팽이버섯 배지 개발 가능성은 충분히 있는 것으로 판단되다.
        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 를 함유하고 있으며 함암활성, 면역증가 효과 및 황산화 효과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 약용버섯인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균사체의 액체 배양 발효공정 개선을 위한 균사체 배양조건의 최적화와 β-glucan 생성을 극대 화 할 수 잇는 배지 개발 및 배양시간에 따른 β-glucan의 함량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배양 온도는 28℃, 초기 pH는 5,5, 통기량은 0.50 vvm에서 균사체의 생육 및 β-glucan 생성이 양호하였다. 균사체 배양을 위한 최 적배지 (RGP배지)는 증류수 1L 중에 glucose 50 g, 미강 추출물 30 ml, peptone 10 g, malt extract 5g, K2HPO4 1 g 및 MgSO4·7H20 1 g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배지에서 7일 배양 후 얻은 균사체량 및 β-glucan 함량은 각각 35.9 g/l 및 34.0%(w/w) 이였다. 3%의 미강추출물 첨가시 균사 생육 및 β-glucan의 함량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시간에 따른 β-glucan의 함량 및 glucose 량의 변화는 72시간까지는 β-glucan의 함 량 이 9.2%(w/w)였으나, 96시간부터는 19.3%(w/w)로 급격 히 증가하였고 잔존 glucose량은 배양시간 72 시간까지 는 3.5% 이상을 유지 하였으나 96시간부터는 3.0% 이하 로 떨어졌다.
        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새송이버섯은 톱밥 배지에 미강 및 대두박 등의 부원료 를 첨가하여 병 재배법으로 생산하고 있지만 배지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지리산권 역 서부경남에서 한방재료로 대량 생산되고 있는 오갈피, 두충, 홍화대 및 야생 쑥 등의 지역특성에 적합한 배지원 료를 이용하여 새송이버섯의 상품화를 시도하였다. 한방 약재는 재배농가로부터 직접 구입하여 자연건조한 후 5℃ 에 냉장보관 하면서 사용하였다. 각종 한방약재가 버섯의 균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오갈피, 쑥 및 홍 화대는 새송이버섯 균사생장을 촉진하였으나 두충은 오 히려 균사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갈피 및 쑥 등의 최적첨가농도 검토를 위한 평판배양에서는 10~15%의 첨가량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톱 밥배지에 오갈피 및 쑥 등을 첨가한 후 병 재배법으로 새송이버섯의 균사성장을 검토한 결과도 평판배양법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오갈 피와 쑥 첨가배지를 이용하여 실제 버섯재배농가에서 새 송이버섯을 생육시킨 결과 버섯의 균사성장이 촉진되고, 육질이 단단한 새송이버섯의 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다. 이후는 성분분석을 통한 한방새송이버섯의 차별화를 위 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8.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남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새송이 버섯 폐 배지 산출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남 진주인근의 농장을 방문하여 면적당 배지 원료 투입량을 조사한 결과 평당 3 kg의 원료가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지의 원료는 농장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주원료로서 옥수숫대 와 톱밥을 사용하였고 그 외 미강, 콘코프, 소맥피, 건비 지, 비트펄프 등을 부원료로 사용하였다. 원료는 잘 혼합 한 후 배양병에 담아 수분함량을 68% 되게 조절한 다음 살균하여 사용하였으며 종균 접종 후 40일 정도 배양하였 고 폐배지의 수분함량은 61.32%였다. 종균을 접종한 배 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사생장에 의해 배지 표면이 점차 흰색을 띄었으며, 균사체에 의해 배지의 결속력이 강 해져 덩어리를 형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양이 끝난 폐배지는 배지에 비해 엷은 갈색을 띄었고, 폐배지 전체에 균사체가 골고루 퍼져 있었으며 버섯특유의 향과 함께 자 실체 잔여물이 남아있었다. 새송이 버섯 생육단계에 따른 단계별 영양성분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면 건물함량은 최 초 175.2 g/병이었으나 최종 폐배지 단계에서는 145.6 g/ 병으로 16.8% 정도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에서 cellulose, lignin, NFC, OM, CP, TP, NPN, EE, ash, TDN의 양보다 자실체 단계에서 소실되는 양이 유의 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ADF-CP(dmk)함량 은 자실체에 의한 손실보다는 균사체에 의한 손실이 유의 적으로 높았다.
        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0.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녹차종자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녹차 종자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녹차 메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과 비교하였다. 녹차 메탄올추출물기 수소공여능은 농도 이상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녹차종자 메탄올추출물은 농도에서 21.86%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녹차종자 및 녹차 메탄올추출물이 농도로 처리된 흰쥐의 간 균질물에서 MDA의 생성량이 대조구의 86 Mol/g에 비하여 각각 60 및 50 Mol/g로 낮게 나타내어
        11.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산 한약계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 콩된장의 아질산염 소거작용, 수소공여능, 항균활성 및 혈전용해능 등을 검토하였다.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은 대조구 된장에 비하여 대부분이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물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은 증가되었으며, III군과 IV군의 된장이 다른 I군과 II군의 된장보다 약간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수소공여능은 한약재 추출물 첨가 된장이 대조구 된장보
        12.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d mold was isolated from meju prepared by traditional mtehod and characterized. The isolated red mold grew well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In microscopic observation, it had a septum in mycelium and ellipsoidal spore.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growth were 30 and 6.0, respectively. Enzyme activities such as protease, a-amylase and glucoamulase in ted mold were lower than those in Aspergillus oryzae. A competitive growth between red mold and Asp. oryzae was greatly affecten by cultivation temperature. The growth of isolated red mold on meju was predominant at below 30 as compared with Asp. oryzae.
        13.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각종 식중독균에 대한 마린엑스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두부에의 처리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aper disc법에 따른 항균활성은 100ml의 마린엑스 첨가시에도 시험균주 모두에서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마린엑스를 각 시험균주에 농도별로 첨가한 후 균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첨가농가 클수록 균의 증식을 더 크게 억제하였다. 마린엑스를 희석한 물에 두부를 첨지하여 상온에 저장하면서 pH, 색도, texture, 대장균수 및 생균수를 조사한 결과 두부
        14.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water extract of mustard seed was fractionated by solvents with an increase of polarit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ach extracts were examined, and volatile compounds of each extract were identified by GC-MS. When the water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solvent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high in the order of chloroform, ethylacetate, hexane, butanol and aqueous layer. In chloroform fraction, 16 volatile compounds, including 2 isothiocyanates such as 3-isothiocyanato- 1-propene and 4-isothiocyanato- 1-butane, 1 nitrile and 4 acids were identified, their contents were higher than other fractions. Twelve, 10, 4 and 7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ethylaceate, hexan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respectively. The volatile compounds were considerably less in the fractions of butanol and water than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