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197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일품종이 가지는 도열병 저항성의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도체내에 함유하는 질소, 규산 및 Flavonoid함량을 분석하고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재배한 풍광에서 이들 성분함량이 도열병 발병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수도체내 규산과 Flavonoid 함량은 질소 시비량과 반비례하고 규산 시비량과는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 도열병 상습답에서의 도열병 발병율은 체내 질소함량에 정비례하고 규산함량에 반비례하였다. 3. 도열병에 대하여 저항성인 통일에서는 저항성의 요인이 되는 규산 및 Flavonoid의 체내함량이 이병성인 풍광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4. 규화세포의 수는 고엽일수록 많고 생육의 진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풍광에서 보다는 통일에서 현저히 높았다. 5. 이들 체내 성분의 함량은 통일이 갖는 도열병 저항성의 한 요인인 것으로 보였다.
        4,000원
        2.
        197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갈색엽고병(Fusarium niwate)의 효과적인 접종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균의 분생포자의 증류수 현탁액을 벼 유묘에 분무접종할 때, 접종 후 습실에 1일 보존했을 경우에는 거의 발병이 되지 않았으나 2일간 보존한 겅우에는 어느 정도 병반이 나타났다. 2) 벼 유묘에 바람이나 또는 나무막대기로 물리적인 상처를 입힌 다음 증류수 포자현탁액을 분무한 결과 상당한 병만이 형성되었다. 3) 포자현탁액에 벼 잎 추출액, glucose, polypeptone, yeast exract 등의 용액을 첨가 분무접종했을 때 병반형성이 양호하였다. 4) 포자발아상태는 종류수중에서는 불량하였으나 영양분을 첨가한 용액중에서는 발아력도 좋았고 균사의 융합도 양호하게 일어났다. 5) 본 접종시험의 결과 통일품종은 재래 장려품종인 풍광에 비해 본 병에 대해 약했다.
        4,000원
        3.
        196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 plant breeding program, an efficient selection of desired characters in a population is important. Generally, many agronomic characters in a given population are determined by polygenes and quantitatively inherited. In practic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observed characters which are undoubtedly subjected to the environmental influence is difficult to identify. In recent years, many workers have attempted to understant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n terms of genotypic correlation, and the knowledge thus gained should furnish many important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breeding,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The genotypic correlation is the result of pleiotropy, linkage of genes(2, 3, 5, 6, 8) and natural or artificial selection(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genotyr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all possible pairs of nine characters. and to seek certain characters which may be useful as indicators of certain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Weber and Moorthy(10), Johnson et al. (5) and Sheth(7) found that in general, the genotypic correlations were higher than the phenotypic correlations. Weiss et al. (11) obtain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aturity and oil content, maturity and low protein content, and high protein content and low oil content. Weber and Moorthy(10) reported the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flowering and maturity, yield and maturity, yield and plant height, yield and seed weight, and negative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maturity and oil content, and oil content and seed weight. Johnson et al. (5) studied the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among 24 characters and concluded that selection based entirely on a long fruiting period, lateness, heavy seed, low protein, high oil and resistance to lodging w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yield. Sheth(7) found the following positive associations among characters; height and maturity, yield and lodging, low protein content and high oil content, and yield and low protein content. Hanson et al.(1) also reported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protei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