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프리즘이 가해짐에 따라 변화된 눈의 영상을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융합 예비량을 타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기존 자각식 측정법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교정시력 1.0 이상인 남녀 30명(평균연령 23.77±1.52세)을 대상으로 원거리(3m) 및 근 거리(40cm)에서 프리즘 바를 이용한 스텝버전스법으로 음성융합버전스와 양성융합버전스를 각각 3회 측정 하였다. 그리고 캐논 6D DSLR 카메라와 100mm macro 렌즈를 사용하여 융합예비량 측정 시 프리즘 단계 별로 촬영하였으며, 동시에 자각적으로 분리점, 회복점을 보고 받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리즘 단계별 사진의 동공 간 거리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자각적 측정값의 보고 지점과 대조하여 유의성을 확인 하였다. 결과: 사진으로 촬영 후 측정한 동공 간 거리 변화 그래프가 음성융합버전스 측정의 경우 동공 간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 또는 감소 하다가 분리점과 회복점으로 보고한 지점에서 그래프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고, 양 성융합버전스 측정의 경우 동공 간 거리가 일정하게 감소 또는 증가 하다가 분리점과 회복점으로 보고한 지 점에서 그래프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다. 기울기의 변화가 나타난 지점을 타각적 측정값으로 결정하고 자각 적 측정 지점과 비교한 결과, 측정값 평균은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의 경우 타각식 12.63±5.48⊿, 자각식 11.41±3.88⊿, 회복점은 타각식 9.15±4.12⊿, 자각식 8.11±3.47⊿,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의 경우 타각식 16.74±4.01⊿, 자각식 15.93±4.66⊿, 회복점은 타각식 12.55±3.43⊿, 자각식 11.91±3.90⊿ 이었다.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타각식 18.52±4.84⊿, 자각식 18.58±5.73⊿, 회복점은 타각식 13.36±3.89⊿, 자각식 13.17±4.34⊿,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타각식 22.85±6.33⊿, 자각식 22.96±6.21⊿, 회복점은 타각식 17.13±4.61⊿, 자각식 17.48±5.37⊿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타각적 측정값과 프리즘 바를 이용한 자각적 측정값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타각적 측정법이 자각식으로 검사를 할 수 없는 유아나 장애인의 융합예비량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one of the minor crops grown in Korea belonging to the Polygonaceae family, is an annual crop widely cultivated in Asia, Europe, and America and has a character of outcrossing and self-incompatib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tic variability,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population structure of buckwheat landraces of Korea using SSR markers. Ten microsatellite markers have been detected from a total of 79 alleles among the 179 buckwheat accessions were collected from Korea. The number of allele per marker locus (NA) ranged from 2 (GB-FE-001, GB-FE-043 and GB-FE-055) to 31 (GB-FE-035) with an average of 7.9 alleles. GB-FE-035 was the most polymorphic with the highest PIC value 0.93. Major allele frequencies (MAF) for the 10 polymorphic loci varied from 0.12 to 0.97 with a mean allele frequency of 0.57. The expected heterozygosity (HE) values ranged from 0.05 to 0.94 with an average of 0.53. The observed heterozygosity (HO) ranged from 0.06 to 0.92 with an average of 0.42. The overall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values ranged from 0.05 to 0.93 with an average of 0.48. The landrace accessions of buckwheat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not distinctly grouped according to geographic distribu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results revealed genetic differentiation was low according to the geographic region because of outcrossing and self-incompatibility. We reported that our analyses on the genetic diversity of common buckwheat cultivars of Korea were performed by using of microsatellite ma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