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preserve the superior genetic resources and restore the endangered species,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has been used widely. In Korea, the research of dog cloning has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the world`s first cloned dog. Sapsaree (Sapsalgae), the representative dog of Gyeongsan-si was designated as a Korea natural monument (No. 368). This male dog used in this study has azoospermia due to unknown cause. In this study, the aim was to confirm the cause of infertility in the cell donor dog and to evaluate the reproduction potential of dog cloning using infertile male dog by SCNT. First, to confirm the infertility of the cell donor dog, the reproductive history and the testis were evaluated. The breeding histology was not recorded in individual document. In histopathology, the Sertoli cell tumor was confirmed in biopsy of the cell donor dog after death. But, these tumors are predominantly in older dogs. Second, we produced the cloned dogs with the somatic cells of the infertile dog and the appearance was similar with the cell donor dog. Also, microsatellite analysis confirmed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 donor and clone dogs. Third, the potential breeding capacity of the cloned dog was confirmed. In T4 assay, the normal dog (same age with cloned dogs), cell donor dog, and cloned dogs was investigated. The cell donor dog with azoospermia had very low T4 level, and cloned dogs showed higher level of T4 than normal dogs. In CAS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rm motor ability between normal dogs and cloned dogs. As a result, cloned dogs produced by SCNT had no problem regarding the reproductive function of the testis. In AI experiment, the semen of clone dogs was used to fertilize a natural female bitch and was diagnosed pregnancy by ultrasonography. In total, 7 puppies were born by normal delivery (male: 3, female: 4).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production problem of non-genetic infertility can generate a normal descendant by SCNT. Also, the first successful research to restore infertile dogs was completed. Furthermore, SCNT would be useful for the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and application of superior traits.
        3.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문제 답 다년생 잡초인 너도방동산이, 가래, 올미, 올방개에 대하여 그 번식기관인 괴경 및 인경의 형태, 발아양상, 발생심도(담수 및 밭 상태), 번식과정, 형성량 등을 조사하였다. 1. 너도방동산이의 괴경은 근경에 의하여 수개씩 연결되어 있으며 괴경상에 횡경이 있고 이 횡경에 하나의 눈이 있다. 2~5개의 branch가 연결된 가래의 인경은 인편이 붙어있던 곳에 마디가 있고 이 마디에 하나씩의 눈이 있다. 올미 괴경에는 정아 외에 구부에 2개 내외의 측아가 있다. 올방개의 괴경에는 정단부에 4~6개의 눈이 모여 있고 이들은 포피에 쌓여있다. 2. 괴경 및 인경은 초단하였을 때 그 세편은 모두 발아 가능하며 완전한 형태일 때는 발아에 있어 정아우세성이 있다. 3. 휴면성은 올방개에서만 인정되었다. 4 너도방동산이는 밭상태에서는 지표하 10cm까지 발아생육이 가능하지만, 담수상태에서는 1cm구를 제외하고는 발아되지 않았다. 가래와 올미는 담수상태하에서 각각 지표하 30cm, 10cm까지 발아생육되나 밭상태에서는 발아되지 않으며, 올방개의 경우 담수, 밭상태 모두 지표하 30cm까지 발아생육되지한, 담수상태의 생육이 밭상태보다 양호하였다. 5. 번식과정은 네가지 초종 모두 공통적으로 발아한 후 3~5차까지 근경을 내어 신주를 형성하고 가을에 하방으로 신장한 근경의 선단이 비대하여져 괴경이나 인경을 형성한다. 6. 4월에 이식하여 타식물과의 경합이 없는 포장조건하에서 생육된 다년생잡초들의 수평분포범위는 너도방동산이 1.5m 1.3m, 가래 2.6m 2.2m, 올미 1.6m 1.9m, 올방개 2.3m 2.4m이었다. 7. 한개의 괴경 및 인경으로 부터 형성된 증가량은 너도방동산이 2,657개, 가래 2,495개, 올미 2,043개, 올방개 1,642개이였으며 네가지 초종 로두 일반적으로 괴경 및 인경의 형성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그 평균중량이 증가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