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ilicone device used to obtain homogeneous fat suppression during 3T MRI scans of the foot. Materials and Methods : 38 healthy volunteers were enrolled. Fat saturated, T2-weighted, fast spin-echo images were acquired. The scanning was repeated in the pre- (group A) and post- (group B) application of the device. Signal- and contrast-to-noise ratios (SNR and CNR)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in the four regions of interest (ROIs). ROI 1 and 2 were selected from toe-side bone and soft tissue, while ROI 3 and 4 were selected from proximal bone and soft tissue. Qualitative analysis using a four-point scale was performed for three categories.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the overall image quality, homogeneity of the first phalange and metatarsal bone. Results : The SNR and CNR in ROI 1 and 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SNR; P < .001, CNR; P < .001),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I 3 and 4. The qualitative score of the overall fat suppression in group 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 A (P < .001). Homogeneity of the first phalange in group B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 A (P < .001). On the other hand, the homogeneity of the metatarsal bo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use of a silicone device provides homogeneous fat suppression in 3T MRI of the foot and can significantly improve image quality.
        3.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RI를 이용한 기능검사 시 rectangular FOV를 적용하더라도 기능을 정량화한 대표 값은 차이가 없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FOV 불일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표적인 기능 검사로 뇌졸증의 진단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확산강조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주파수부호화 방향의 FOV 변화에 따른 ADC 값의 변화 여부를 비교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주파수부호화 방향의 FOV가 변화함에 따라 ADC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후분석 결과도 유의수준 0.05에 대한 부집단이 모두 1개 밖에 존재하지 않아 FOV 변화에 따른 ADC 값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MRI를 이용한 기능 영상에서 rectangular FOV를 적용하더라도 기능을 정량화한 대표 값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FOV 불일치로 인해 수반되는 공간왜곡이나 mismatching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DWI 검사 시 자화율 차이로 인해 뇌줄기에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새로운 SS-TSE를 적용하 여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년 7월부터 동년 9월까지 DWI 검사를 검사한 30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SS-EPI 기법과 새로운 SS-TSE를 적용하여 기법에 따른 뇌줄기의 왜곡과 오차율을 비교평가 하였 다. 연구결과, 새로운 SS-TSE 적용 시 왜곡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오차율 또한 b0 영상은 2.4%(11. 1%에서 8.7%), b1000 영상은 1.2%(11.4%에서 10.1%)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뇌줄기의 D WI 검사 시 본 연구의 SS-TSE를 이용하면 기존 기법 사용 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