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improve the lithium-ion battery performance and stability, a conducting polymer, which can simultaneously serve as both a conductive additive and a binder, is introduced into the anode. Water-soluble polyaniline:polystyrene sulfonate (PANI:PSS) can be successfully prepared through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and their chemical/mechanical properties are adjusted by varying the molecular weight of PSS. As a conductive additive, the PANI with a conjugated double bond structure is introduced between active materials or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to provide fast and short electrical pathways. As a binder, the PSS prevents short circuits through strong π‒π stacking interaction with active material, and it exhibits superior adhesion to the current collector, thereby ensuring the maintenance of stable mechanical properties, even under high-speed charging/discharging conditions. Based on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intrinsic properties of PANI and PSS, it is confirmed that the anode with PANI:PSS introduced as a binder has about 1.8 times higher bonding strength (0.4 kgf/20 mm) compared to conventional binders. Moreover, since active materials can be additionally added in place of the generally added conductive additives, the total cell capacity increased by about 12.0%, and improved stability is shown with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99.3% even after 200 cycles at a current rate of 0.2 C.
2022년 10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친환경 딸기재배 농가에서 점박이응애는 칠레이리애응애와 사막이리응애, 진딧물은 콜레마니진디벌을 대상으로 하는 천적처리구와 유기농자재를 사용하는 관행방제구에서 천적의 해 충 밀도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천적처리구에서 점박이응애 성충 밀도는 잎당 1.5마리 이하, 알은 4개 이하로 관리되었고, 사막이리응애는 잎당 최대 0.4마리까지 증가하여 점박이응애 밀도억제에 많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인다. 반면, 관행방제구에서 점박이응애 밀도는 천적 방사구에 비하여 오히려 많은 발생량을 보였지만, 3월 9일부터는 사막이리응애의 증가와 유기농자재의 효과로 점박이응애 밀도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진딧물 천적 처리구에서 진딧물 밀도는 1월부터 발생하였으며 3월 상순에 잎당 0.3마리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였고, 콜레마니진디벌은 진딧물 발생이 많지 않아 3.9마리/㎡(2회) 방사하는 데 그쳤다. 한편, 관행방제구 포장의 진딧 물은 유기농자재의 영향으로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We investigated the behavioral attractive responses of a lepidopteran larva parasite, Exorista japonica to 10 synthetic herbivore-induced plant volatiles (HIPVs). These synthetic HIPVs have been revealed the attractive effect on several parasites. For each of the HIPVs, we asked the following two questions : (1) Which volatiles show the attractiveness to this parasitoid, (2) Whether the attractan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the host settlement and parasitism of the parasitoid. To experimentally address these questions, we performed 2 and 4 choice indoor cage tests. E. japonica adults were significantly attracted to benzaldehyde and (Z)-3-hexen-1-ol showing higher settlement and parasitic rates on Spodoptera litura of treatments. Compared to the untreated plots, the average parasitism of E. japonica on S. litura larvae in the benzaldehyde treatments increased by approximately 20%.
Sow longevity is important for efficient and profitable pig farming.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genetic effect (SGE) of pigs on stress-tolerance and behavio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stimate genetic correlations among average daily gain (ADG), stayability (STAY), and number of piglets born alive at the first parity (NBA1) in Korean Yorkshire pigs, using the SGE model. The phenotypic records of ADG and reproductive traits of 33,120 and 11,654 pigs, respectively, were evaluated. The direct effect on AD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genetic relationship with STAY, whereas the social effect on ADG had a neutral genetic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genetic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effects on ADG and NBA1 tended to be positive, unlike the direct effects. The genetic correlation of the total effect on ADG with that of STAY was negative but non-significant, owing to the social effec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tal genetic effect on growth in the SGE model might reduce the negative effect on sow longevity owing to the growth potential of pigs. We recommend including social effects as selection criteria in breeding programs to obtain satisfactory genetic changes in both growth and longevity.
소나무재선충병의 나무주사는 살선충제를 중심으로 실시되어 왔으며,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방제는 주로 항공방제나 지상방제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주사를 통하여 매개충 (솔수염하늘소)을 방제하기 위한 연구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약제의 나무주사시 솔수염하늘소의 약효발현농도, 처리 후 기간별 효과(2017년~2018년)를 검토하였다.
실내 발현농도 시험에서는 Acetamiprid, Thiamethoxam LC50 value는 각각 0.102ppm, 0.083ppm 으로 나타 났으며, 야산(포장)에서 Abamectin+Acetamiprid ME, Thiamethoxam DC 처리구의 100.0% 치사 소요일 수는 처리 90일 후 11.0일, 9.4일, 처리 360일 후 11.6일, 10.0일로 나타나서 두 약제 모두 3월 처리시 다음해에 발생하는 매개충 (솔수염하늘소) 방제까지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꽃노랑총채벌레는 저항성 해충군이 가지고 있는 크기가 작고 산란수가 많으며 세대기간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동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령기가 혼재하고 있으며, 꽃과 잎 등 식물체뿐만 아니라 토양에서 생활환을 완성하는 복잡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총채벌레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설 내 방제는 어려운 실정이며, 동일계통의 작용기작을 갖는 약제들의 단조로운 패턴의 약제사용으로 인하여 그 방제효과는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약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처리별 효과 검증을 통하여 방제체계를 제안하였다.
우선 실내에서 약제별 약충과 성충에 대한 처리방법별 효과 검토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가 높지 않은 초기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와 총채벌레 밀도가 높은 시기에 처리할 수 있는 약제를 선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포장에서 혼용살포, 연속살포, 로테이션 조합별 효과 검토를 하였다. 또한 본 시험결과들을 기초로 ㈜경농에서는 3가지 이상의 다른 작용기작의 약제를 밀도가 높을 경우 3~5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연속살포하는 3!3!3! 총채벌레 관리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