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is one of the most popular ornamental species in the world due to the great diversity of inflorescence form and color. There has been increasing demands for various types of chrysanthemums, such as cut flowers, potted plants and bedding plants. However, the genomic studies of this species have been not extensively conducted relative to other ornamental species due to high levels of polyploidy (2n = 4x =36 or 2n = 6x = 54) and heterozygosity as well as large genome size. In this work, we developed a molecular tool for cultivar identification using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and investigated genetic diversity in 127 chrysanthemum cultivars. Of the 150 SSR primer pairs tested in this study, 62 primers were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while 88 primers were designed using the unigene sequences of C. nankingense and the Expressed Sequence Tag (EST) sequences of C. morifolium in the NCBI database. Thirty SSR primers were selected based on polymorphism and banding patterns in a subset of 8 cultivars and used to amplify the DNA of 127 chrysanthemum cultivars. The UPGMA dendrogram based on these 30 SSR markers showed that most of chrysanthemum cultivars were divided into five clusters. These results will benefit chrysanthemum research community to develop elite cultivars.
        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로의 Low Impact Development(LID) 시설에서 노면유출수의 저류와 토양내의 중금속 축적을 모니터링하였다. 경기도 A시에 위치한 시설로 기존가로수 하향식재와 나무화분 여과상자의 가로수 형태가 있으며, 식생 저류조 형태의 식생플랜트와 식생체류장치로 총 4개의 시설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강우에 실시된 4회의 모니터링에서 시설로 유입된 누적 강우유출수는 0.07~0.77 m3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가로수 형태 시설의 강우 유출수에 대한 시설 유입율은 평균 14.9%였다. 식생 저류조 형태의 경우 평균 4.6%의 유입율로 강우 유출수에 대한 저류능력을 나타내었다. 토양 의 중금속은 표층으로부터 10 cm의 토사를 채취하여 농도변화를 계절(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모니터링하였다. 타이어의 마모에 의해 발생하는 카드뮴(Cd)의 경우 식생플랜트 시설의 초기 기저농도 0.0014 mg/kg에서 겨울에는 0.0304 mg/kg으로 증가하였다. 나무화분 여과상자에서는 납(Pb)이 0.0263 mg/kg에서 0.0606 mg/kg으로 축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LID시설의 유량 저류는 도심의 불투수층에서 발생하는 강우 유출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유발되는 홍수 및 수해에 대한 방재 효과와 시설 내 중금속 저감을 기대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