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plazas are open spaces commonly found in city centers that all citizens can access. They can participate in events such as community gatherings, open markets, and concerts, or use these purposely designed areas while creating a sense of place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he zone and the meanings they assign to i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visitors’ sense of space in the context of public plazas. To do so, we measured and analyzed visitors’ attitudes including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and place dependence, as well as their behavioral patterns, perceptions, familiarity, and satisfaction level. We selected the study sites to represent plazas in Seoul, South Korea’s capital: Gwanghwamun Plaza, Seoul Plaza, and Cheonggye Plaza, which were recently developed as a part of a host of urban renewal projects due to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We collected data using survey methods and carried out descriptive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the F-test, and t-tests to analyze visitors’ demographic information, behavior, perceptions, satisfaction, familiarity,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easured variables. The findings reveal that sense of place in public plazas might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in, perceptions of, satisfaction, and familiarity with public plazas. The results indicate that landscape planning in urban plazas might need further research that considers visitor views in order to create a sense of place and make such areas meaningful as landmarks.
본 연구는 도시경관향상을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산시를 대상으로 시민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설문 구성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경산시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성별, 연령, 거주기간 등에 관한 3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경관 인식에 관한 설문으로는 경관이 과거보다 좋아진 이유 또는 나빠진 이유, 경관의 개선방안에 관한 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경산시의 경관이 좋아진 이유로는 ‘하천이 정비되어서’가 24.3%로 가장 높 았고, ‘도심가로가 정비되어서’가 22%로 다음으로 빈도가 높았다. 경산시의 경관이 나빠진 이유로는 ‘도심가로가 복잡 하게 되어서’가 25.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고층건물 및 아파트 건설’ 17.3%의 빈도로 나타났다. 시민들은 경관 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하천 등을 정비(26.8%)’하고, ‘가로수 및 간판 정비 등 가로경관 개선(21.8%)’을 우선적 개 선 방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행정중심의 하천 및 도심가로 정비가 도시경관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공원녹지 조성, 기존 공원 및 광장 정비, 산림보호 강화 등과 같이 도시의 녹지가 도시경관향상과 깊은 관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 연구결과에서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