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lt is crucial for survival, yet excessive intake of sodium chloride can have adverse effects. In the fruit fly, Drosophila melanogaster, internal taste organs located in the pharynx play a pivotal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o accept or reject food.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how pharyngeal gustatory receptor neurons (GRNs) perceive high salt levels is still limited. In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a specific member of the ionotropic receptor family, Ir60b, is selectively expressed in a pair of GRNs that respond to high salt concentrations. Through a two-way choice assay (DrosoX) to measure ingestion volume, we established that IR60b, along with two coreceptors, IR25a and IR76b, is necessary to deter excessive salt consumption. Interestingly, mutants lacking external taste organs but retaining internal taste organs in the pharynx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lt avoidance compared to flies missing all three IRs while still possessing all taste organ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ucial role of IRs in pharyngeal GRNs in regulating the intake of high salt levels.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에너지 정책이 장기화되는 이유는 에너지 정책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증 가하고 이러한 변수가 갖는 영향력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단기적⋅단편적 접근을 통 해 에너지 이슈에 대한 근본적인 대처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에너지 정책을 장기적 관점에서 다루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거버넌스적 접근이 필요 하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전환이론을 에너지 정책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전환관리 모델과 에너지 전환사례를 바탕으로 수정된 전환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의 시스템 전환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에너지 정책형성 과정에 전환적 사고가 폭넓게 확산되어 가고 있으나, 정책집행 과정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전환관리를 위해 대응해야할 과제도 존재하고 있음 을 확인하였다.
        8,000원
        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사회-기술 시스템이 하나의 핵심적인 분석단위가 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성이라는 복잡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환이론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사회-기술 전환을 거버닝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정부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이론과 거버넌스 이론을 접목하여 사회-기술 전환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를 유형화함으로써, 전환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모델과 전환정책 설계를 위한 실천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조정수준과 전환압력이 발생하는 위치를 전환정책 거버넌스를 유형화화기 위한 핵심 맥락으로 설정하고, 주도적 정책 거버넌스, 촉진적 정책 거버넌스, 조정적 정책 거버넌스, 설득적 정책 거버넌스 등 4가지 거버넌스 유형을 도출하여 각각의 특징과 사례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분석적 측면에서 각 유형별로 전환을 촉진하는 정책기능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한편, 규범적 측면에서는 정책입안자가 어떻게 효과적인 전환정책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는 혁신정책 관점의 전환이론을 기존의 거버넌스 이론과 접목함으로써, 양 연구의 간극을 줄이고 전환에 대한 거버넌스적 고찰을 구체적인 전환이론과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7,700원
        4.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mpacts of major teleconnection patterns on December mean temperature in Korea have been changed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regime shift of 1986 for the last 61 years from 1958 to 2018.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regime shift, the teleconnection patterns originating from the North Atlantic mainly affected the temperature variability in Korea, but its influence almost disappeared after the regime shift. On the other hand, the Arctic Oscillation (AO) and warm Arctic and cold Eurasia (WACE) patterns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temperature variability in Korea after the regime shif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O could explain about 12% of the total temperature variability before the regime shift, but about 22% after the regime shift. WACE pattern also explained about 4% before the regime shift, but after the regime shift, the importance increased by about 4.5 times to 18%. On the other hand, East Atlantic pattern (EA) and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which are east-west teleconnection patterns, explained 27% and 11%, respectively, before the regime shift, but had little influence within 3% after the regime shift. This means that the influence of east-west teleconnection patterns disappeared after the regime shift, and teleconnection patterns by the Arctic Circle became more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