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

        181.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Boussinesq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한 지배방정식을 수치 적분하여 정현파형 지형이 일정한 경사에 놓여 있는 해저지형을 통과하는 크노이드파인 Bragg반사를 해석하였다. 지배방식에 포함된 급변항의 효과와 비선형성의 크기에 따른 Bragg반사를 해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경사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를 계산하여 반사율은 경사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밝혀냈다.
        182.
        1998.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pagation of water waves over irregular bottom bathymetry and around islands involves many process-shoaling, refraction, energy dissipation and diffraction. Numerical model in this study is developed with the mild slope equation to investigate wave transformation in water of varying depth and combined waves and a current. The method used is splitting method and minimax approximation. The numer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Crank-Nicolson scheme in the FDM. This model is applied to Vincent shoal and compared with laboratory experimental data. The results agreed well with laboratory data. Current effect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model can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rip current in the slowly varying topography.
        183.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bersole(1995)의 접근법을 사용하여 Massel(1993)의 확장형 완경사방정식에서 유도되는 eikonal 식과 파랑 에너지전송식과 또한 파수의 비회전성을 이용하여 파랑변형을 예측하였다. 완경사방정식에 무시되었으나 확장형 완경사방정식에 고려된 고차의 수심변화 효과, 즉 수심경사의 제곱 및 수심의 곡률이 고려되면 수심변화가 심한 경우에 더 정확한 해석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수치실험 결과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수심변화가 심한 경우 eik
        184.
        199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하저장공동의 적절한 설계와관리를 위해서는 공동주위의 지하수 흐름이 분석되어야 한다. 지하수 흐름은 수리전도도의 공간적인 변동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향분석을 위해 추계학적 개념을 도입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개발하였다. 추계학적으로 정의된 불균일 매질에서의 2차원 정류흐름에 대한 근사해를 얻기 위해 Monte carlo 방법을 이용하엿으며, 이를 위해 알려진 평균과 표준편차를 가진 수리전도도를 발생시켰다. 모형을 통한 예측
        185.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펌프동력이 기지 값으로 주어져 있을 때, 유량이나 관경을 산정하는 경우 기존의 방법으로는 상당한 반복과정을 거쳐야 된다. 이에 유동훈과 강찬수(1996)는 균일조도 동력경사관인 경우 유량인 관경을 양해법으로 산정하는 식을 개발한 바 있다. 마찰계수 산정을 위한 지수함수식의 이용은 본 양해법 산정식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유동훈(1995a)은 상용관이나 복합면을 가진 관의 마찰계수 산정을 위한 마찰계수 평균법을 제시한 바 있다. 그와 같은 접근방법으로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