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9

        261.
        1996.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erfom a large project for complex study of Blue Compact Galaxies (BCGs) with strong star formation, which includes optical spectroscopy, BVR CCD photometry and HI 21 cm radio survey. The most interesting galaxies are studied also with HST and VLA. In the frame of this project we began the study of Hα morphology of BCGs with 6-m telescope. We present and discuss here the results for the first 6 galaxies. We found the noticeable variety of forms for Hα morphology comparing to broad band images: from very compact HII region in very center of stellar body (Mark 996, possible dwarf post-merger, old galaxy experiencing strong star formation burst), to very extended gas emission encompassing the whole area traced by stars (SBS 0335-052, the most probable young galaxy in formation).
        262.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R imaging of the Liver has improved in recent years mainly due to the devεlopment of fast imaging techniques that reduce motion artifacts and allow imaging during a breath h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ime density curv es in hepatoma. Hamangioma meta static liver mass. We are evaluated comparison of eight pulse sequences and measured liver signal intensity. The study patient consisted of 20 patients who had liver disease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of 1995. In the CNR Ratio of 20 patients, we found that mean signal intensity ratios were 3l.5 percent for conventional spin echo T2. 53.2 percent for turbo spin echo FS. 40.5 percent for STR 42.3 percent for TSTIR with breath hold techniques Results obtained with 3 disease pattems of time density curves are compared. Our results show that time density curve is an important new method that they are very disagnostic and useful of the abdominal study.
        4,200원
        267.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tial flip angle spin echo( 이하 PFA SE) 腦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명가하기 위하여, 2.0T system 으로 80명의 환자 모두에게 두 가지 T2-weighted SE( 이하 T2-WI SE) sequence 를 척용하였다: 보면적인 二重echo T2-WI SE(2500/30.80 , 900 , INEX) 와 PFA 二重echo T2- WI SE(1200/30.70, 450 ’ 2NEX) , 이 두 가지 sequence 의 비교 연구는 (1) 환자 65 명에게 있어서 PFA SE 테크닉과 flow compensating gradients( 이하 FCG) 를 사용하지 않은 보펀척 SE 와의 비 교, 그러고 (2) 15 명의 환자에게 있어서는 PFA SE 와 FCG 를 사용한 보면척 SE 테크닉으로 수행되었다. 各sequence 의 검사 시간은 거의 통일하다. 여기에서 PFA T2-WI SE 영상 은 대조도 특성과 버정상 조직의 탐지율에 있어서 보연적인 SE 테크닉으로 얻어 지는 것과 거의 일치됨을 알 수 있었다 (1 00% , 85/85 명소), 또한 FCG 를 사용않 은 보펀적 SE 에서 자주 나타나는 brain stem, temporal lobe, basal ganglia 부위 동에서의 f1 0w arti fact 가 PFA SE 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더우기 PFA SE 영상은 FCG 를 사용한 보연적 SE 에서 통상 보여지는 aqueduct 內의 CSF flow void 의 억제가 없음을 보여 주었다. PFA SE 전체 영상의 질적 측면에서, 특히 2nd echo 영상은 FCG 를 사용한 보편적 SE 영상과 거의 대동하였다 45 1> f1 ip angle 은 홈含水 비정상 조직의 대부분과 CSF 에 주어진 1200msec TR 에서 최대한의 signal 을 발생시키는 Ernst angle 에 근접한 듯이 보인다. 결론적으로 PFA SE sequence (즉 , 1200/30-70, 450 , 2NEX) 는 어떠한 임상 적 상휩 및 환자의 영상화에 있어서 일차척이거나 부수척인 테크닉으로 유용하 리 라 생각된다. 보면척 인 T2- WI SE imaging 은 긴 acquisition time 을 요하며 같은 S/N 비를 나타내기 위하여 더 두꺼운 slice thickness(5 --) 7mm) 로 시행 하여야 하고 우려할 만한 motion arti fact 를 야기시키는 동의 몇몇 불러한 입 장에 있다. 물론 오늘날 motion arti fact 에 대한 문제는 ECG 나 주위 맥박 (pluse) 의 gating, 그러고 FCG 퉁의 이용으로 거의 해결되 었다.<16-20> 두뇌 영 상에서 f1 0w artifact 를 감소시킴에 있어서 gradient 모멘트 억제 효과 (moment nulling) 로 얻은 영상은 cardiac gating 을 하여 얻은 영상 보다 시각 적으로나 정량적으로도 우세하게 여겨지고 있다 <19 , 20), 그러나 FCG 를 이용한 imaging 은 CSF flow-void 현상의 억제를 비롯한 흐르는 피 (flowing blood) 로 부터의 증가된 signal -특히 cortical vein 과 dural vein 內또는 기까이에서 - 과 보다 강력한 gradient pulse waveform 및 H/W 의 보강을 요하는 동의 불 러한 조건을 갖고 있다.
        4,000원
        270.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앞서언급한 3가지 QC 의 요건으로 분류 될수있다 (환자, 기기, Filming) 2) 위 3 요소중 가장 저급한 한곳에 의해 전체 QC 의 결과가 좌우되므로 전과정 모두에 정도관리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것이다. (Patient preparation-Coil application-Proper software control and option selections-State of art filiming and processing) 3) 매일의 Quality저하를 간과할수있다. 그러므로 , 필요에 따라 수주전 혹은 1 년전의 화상(젠 1m) 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4,000원
        271.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oustical imaging has made brilliant progress in the medical science field, and has also made much progress in the nondestructive testing and under water acoustics applications since doctor Dussik brother has studied about possibilities of making images of brain by recording variations in the intensity of ultrasonic beam from head in 1937. In this paper an acoustical image is reconstructed with the power spectra analysed by impulse ultrasound wave generated by electrodynamic transducer(EDT). The EDT generates the impulse ultrasound of 77KHz in center frequency and 120KHz in bandwidth at -20dB by 1200V exciter in this experiment. The impulse ultrasound has the dominant frequency components of 47KHz, 177KHz, 110KHz and 155KHz. The U shape object is adopted in making an acoustical image. The resulted spectral acoustical images are different from the optical view of the U shape object. However the image reconstructed from 110KHz spectrum is very similar to the original optical shape of the object. Even KHz level impulse sound of 70μsec pulse width is found to be useful in reconstructing acoustical imaging improvement.
        4,000원
        272.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7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1.5 T와 3.0 T 비 인두 MRI 검사 후 SNR과 CNR을 평가하여 최적의 Tesl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명의 PACS로 전송된 Nasopharynx MRI검사 환자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장비로는 1.5 T, 3.0 T MRI 장비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T1 WI과 T1 지방 소거 영상에서 각 Tongue, Spinal Cord, Masseter Muscle, Fat, Parotid Gland, Tumor의 조직에 대하여 일정한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SNR와 CNR을 평가하였다. 6가지의 조직에 대하여 정량적 분석으로 SNR과 CNR을 평가하였고,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한 영상의 질을 4점 척도로 측정 하였다. 본 데이터 분석의 통계적 유의성은 독립표본 T검증과 Wilcoxon Signed Ranks사용하였으며, p 값이 0.05이하일 때 유의성을 두었다. 본 실험에 대한 정량적 평가 결과 T1 WI 과 T1 지방소거를 1.5 T와 3.0 T 를 비교했을 때 T1 WI에 대한 3.0 T가 평균 SNR(124.75±), CNR(118.91±)로 정량적 분석에서 SNR과 CNR값이 1.5 T평균 SNR(73.15±), CNR(60.59±)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T1 지방소거에서 3.0 T가 평균 SNR(10 1.10±), CNR(81.24±)로 1.5 T의 평균 SNR(78.47±), CNR(65.7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으로 균일한 지방소거, 자화 감수성 인공물에 대하여 4등급으로 평가했을 때 1.5 T 장비가 높은 점수를 얻었다(p <0.05). 결론적으로 두 기기에 대한 데이터 분석 결과 정량적 평가부분에서는 3.0 T 장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성적 평가 부분에서는 1.5 T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각 장비에 대한 장단점을 고려할 때 상호보완적으로 장비를 선택하여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최적의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274.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뇌 질환과 두경부 검사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의 선속 경화현상이 없는 자기공명영상이 조직의 높은 대조 도와 우수한 분해능의 영상을 획득하는 검사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구강 내 금속 이식물이 있는 경우는 자화율 인공물(magnetic susceptibility artifact)이 발생되어 영상 진단에 장해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에서 치아 임플란트와 보철에 의한 인공물 감소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임플란트에 의한 인공물 발생은 GE 기법에서 TE가 짧을수록 신호 크기가 증가하였고, 물의 온도 변화에서는 일관성이 없게 나타났다. SE 기법에서도 공기보다 물의 신호 크기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신호 대 잡음비는 공기와 온도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EPI 기법에서는 공기보다 물이 있을 때 정량적, 정성적으로 인공물이 적게 발생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물 온도 20°와 30°에서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EPI 기법에서 물 온도 20°와 30°의 물주머니를 이용하여 뇌 확산강조영상을 획득하면 임플란트와 보철물에 의한 자화율인공물이 감소되어 보다 진단적 가치가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75.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넓은 동적 범위 특성을 제공하는 평판 디텍터 개발을 바탕으로 의료보건 환경이 디지털화되고 있 는 현 시점에서 적절한 필터 두께의 재설정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 임상에서는 기존 아날로그 시스템에서 연구된 정보를 바탕으로 NCRP에서 제안한 권고 기준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방사선 촬영에서 알루미늄 필터를 이용하여 환자선량 최적화와 더불어 선량크리프의 최소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를 증가함에 따라 유사한 선예도를 가지는 의료영상을 획득 시 피폭되는 피부입사선량을 최대 19.3%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해상력이 1.01 lp/mm의 큰 변화가 분석되었다. 이러한 해상력의 변화는 X선 빔 경화 현상으로 인하여 피사체에서 발생하는 산란선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산란 열화 인자를 통하여 산란선량에 의한 영향이 증가하는 것 을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하지만, 최근 개발되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평판 디텍터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넓은 동적 범위 특성을 가지므로 필터 두께에 따라 산란선의 비율에 대한 증가분과 대응 하여 적정한 해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더 나아가 피폭선량 저감을 통해 선량크리프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76.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X-ray는 연속적인 에너지 분포를 가지지만 저에너지 광자의 경우에는 영상 형성 보다는 환자피폭에 더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에너지 광자를 제거하기 위해 임상에서는 알루미늄 필터를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빔 경화 현상으로 인한 영상 품질에 악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필터에 의한 산란 선량이 의료 영상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상의 대조도 저하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대 표준 편차 및 산란 열화 인자를 평가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70 kVp 이상의 전압에서 진단 영상을 확보 시 NCRP에 의해 권장되는 2.5 mmAl를 기준에서 전방산란율 분석 결과 0.69 %, 산란 열화 인자 분석 결과는 0.005, NNPS 분석 결과 3.59 mm2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알루미늄 필터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산란 선량이 의료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증하 였다.
        277.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기공명영상검사는 조직의 대조도 와 해상력이 우수하지만, 인공물이 발생 될 경우 진단에 영향을 주어 판독이 불가능한 영상을 생성하기도 한다. 치아에 삽입된 금속은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되어있는 경우 가 대부분이며 자화율 차이로 인하여 기하학적 왜곡을 유발하여 영상진단에 저해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반자성 물질을 사용에 따른 금속 인공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자성 물질로는 치아교정용 와이어와 브라켓인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되었고 반자성 물질은 구리, 아연, 비스무트를 사용하였다. 검사장비는 1.5T, 3T가 사용되었으며 사용된 시퀀스는 SE, TSE, GE, EPI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체 제작된 팬텀을 물질은 균등한 신호를 위하여 아가로스 겔(10%)을 사용하였으며 인공물 유발 물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은 팬텀의 정중앙에 위치시켜 검사하고 각 길이 10mm의 정 육면체 반자성 물질의 씌워 검사하였다. 인공물 측정은 Image J를 사용하여 순수한 팬텀 영상에서 자성물질을 포함한 영 상을 감산하여 얻은 영상에서 Low Threshold 값을 10으로 설정 한 후 Wand tool을 사용하여 인공물 영역 설정 후 면적을 구하였다. 스테인리스 스틸에서 발생한 금속 인공물은 반자성 물질 중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구리와 아연은 약간은 감소하지만, 그 정도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하겠다. 이러한 이유는 비스무트의 반자성 자화율이 가장 작아서 강자성체에서의 자화율을 가장 많이 상쇄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5T 와 3T 모두에서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의 인공물이 가장 적 게 나왔다. 시퀀스별 인공물 감소는 1.5T에서는 TSE에서 가장 많이 인공물이 감소하였으며 3T에서는 SE에 서 가장 많은 인공물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반자성물질의 따른 인공물 변화의 결과는 자화율(χ)이 가장 낮은 비스무트를 사용한 영상에서 금속인공물이 기준인 Implant 인공물 보다 줄어든 양상을 보여 자화율이 낮은 물질일수록 금속 인공물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기존 금속 인공물의 해결 방법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스캔 시간의 증가 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인공물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향후 치아 교 정 물질뿐만 아니라 치아 보철물 전체에 대한 금속 인공물 저감에 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278.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광자계수검출기 기반 스펙트럼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K-각 영상을 획득하고, 이 를 통해 3차원 융합진단영상을 구현하여 임상적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한 K-각 영상 획득을 위해 스펙트럼 전산화단층촬영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희석된 iodine과 gadolinium 조영제가 주입된 6개의 튜브를 돼지고기에 삽입하여 팬텀을 제작하였다. 100 kVp 관전압과 500 μA 관전류 조건에서 발생된 X-선을 이용하였으며, iodine과 gadolinium의 K-각 흡수에너지를 고려한 35 및 52 keV에 저에너지 문턱값 을 설정하여 K-각 영상을 획득하였다. 융합진단영상은 일반적인 전산화단층촬영 영상과 스펙트럼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해 획득한 iodine 및 gadolinium 영상을 정합하여 획득하였다. 두 가지 조영제 기반 융합진단 영상의 CNR은 일반적인 CT보다 평균적으로 6.76-14.9배 높았으며, 3차원 융합진단영상은 각 조영제의 물 질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전산화단층영상의 화질을 향 상시킬 수 있으며 특정 물질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을 통해 진단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79.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상동맥 조영술(CAG)의 씨네(Cine) 촬영에서 엑스선 촬영 조건의 변화가 입사 표면 선량(ESD)과 흡수 선량(DAP)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해 촬영된 혈관 조영 영상의 SNR과 CNR을 측정·분석하여 조건 변화가 선량관계 및 영상의 질에 미치는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본원에서 CAG를 시행한 33명(남24, 여9)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대는 37-76세(평균 59±10세), 몸무게53-104kg (평균 72±10kg), 키150-185cm (평균 166.82±9.5kg), BMI 18.3-33.2(평 균 25.8±3.2)이었다. 촬영조건 및 데이터 획득은 관전류(mA)를 높게 한 A그룹(397.2mA)과 mA를 낮게 한 B 그룹(370.7mA)의 ESD와 DAP를 후향적으로 획득하여 비교․분석 하였고 Image J를 통한 SNR과 CNR 측정· 분석은 획득한 데이터를 공식에 대입하여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PASW)를 사용하여 촬영조건 변화에 따른 ESD와 DAP 및 SNR ․ CNR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촬영조건의 mA에 변화 를 주어 촬영한 A그룹과 B그룹의 ESD(A:483.5±60.1, B:464.4±39.9)와 DAP(A:84.3±10.7, B:81.5±7)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Image J를 통한 SNR과 CNR의 관계에선 B그룹의 좌심장동맥(LC A)을 촬영해 얻은 영상의 SNR(5.451±0.529), CNR(0.411±0.0432)이 A그룹 좌심장동맥(LCA)의 SNR(4.976±0.4 33), CNR(0.459±0.0431)보다 SNR 0.475±0.096, CNR -0.048±0.0로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우심장동맥(RCA)을 촬영해 획득한 SNR과 CNR에선 A그룹의 SNR(4.731±0.773)과 CNR(0.3 54±0.083)이 B그룹의 SNR(3.24±0.368), CNR(0.166±0.033)보다 SNR 1.491±0.405, CNR 0.188±0.005로 증가된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중 CNR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5).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SNR (LCA) & C NR (LCA), SNR (RCA) & CNR (RCA), ESD & DAP, ESD & sec, DAP & CNR (RCA), DAP & sec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SNR과 CNR이 높을수록 선명하고 좋은 화질을 나타냄을 의미하는 데 화질평가 및 선량변화 유용성에 관한 분석 연구를 진행한 결과 mA를 증가시켜 촬영 한 CAG의 RCA영 상에서 SNR과 CNR이 증가된 수치를 보였다. 특히, CNR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을 보았을 때 RCA촬영 시 mA를 향상시켜 촬영 할 경우 영상의 질 중 대조도가 한층 더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28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물 구조에 분포하는 철의 산화수 정보는 유⋅무기적 퇴적광물형성 시 산화환원 조건 등 과거 퇴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생광물화작용에서 미생물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고분해능 투과 전자현미경(HRTEM) 및 전자에너지 손실 분광기(EELS)를 활용한 나노스케일 분석이 필요하다. HRTEM-EELS를 이용한 광물구조 내 철의 산화수 및 탄소 결합 구조 분석, Fe(II)/Fe(III) 및 탄소 기원 분포영상으로부터 광물생성의 생물학적 요소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노스케일 분석을 통하여 지질미생물학자들은 미생물-광물작용의 증거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