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2

        361.
        199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에서의 조직배양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콩 유묘를 기내에서 배양시킨 뒤, 여러 부위를 채취하여 각기 다른 배지 치상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줄기정단조직 배양에서는 대부분 shoot가 분화되어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2. 자엽절 조직배양에서는 multiple shoots가 나타나 대량증식에 유용했으나 배지에 따른 영향이 컸다. 3. 배축 및 상배축 조직배양에서는 callus만 분화되엇다. 4. 엽조직배양에서는 callus 분화 후 계대배양했을 때 shoot가 분화되었으나 완전한 식물체를 얻기는 힘들었다.
        362.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rdeora spontaneum의 7계통의 trisomic 식물체에서 미숙배를 채취하여 2.4-D 1mg/ 와 2mg/ 가 첨가된 B5배지와 CI 배지에 치상하여 callus 형성을 유도했다. Callus 유기는 2.4-D 1mg/ 첨가구에서는 B5배지보다 CI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2mg/ 첨가구에서는 B5배지와 CI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 trisomic type에 따른 callus유기율에서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평균 Callus 유기율은 83 %였다. 식물체재생에서는 kinetin 1mg/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양호하고, 무첨가구에서는 B5배지보다 SI 배지가 좋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다같이 유의차는 없었다. 합계 46개체가 재생되었으며 그후 17개체가 엽녹소 결핍개체였고 재생율은 7.6%였다.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