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6

        2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egree and intensity of unpleasant and disgusting odors perceived through a person's sense of smell can vary depending on personal or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not effective to manage odors solely on the basis of concentration levels because odors can be combined according to temperature, humidity, and frequency,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differently even if the same person smells the same substance. The mobile odor application was developed to enable real time monitoring of odor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field. Accordingly, the Green Future Foundation, a civic group, conducted an environmental campaign to record and share the information of odors in school zone using the first version of the application. The real time monitoring of field odor was abl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and assessment of odors. However, with regard to the first version of the applicati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odor recording through odor measurement applied the direct olfactory method and were less relevant.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organize data due to duplicate selection. For that r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first vers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and to effectively and accurately reflect odor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odor application that has been developed is able to monitor and assess odors based on 5 features: classification, character, strength level, hedonic tone, and acceptability.
        4,000원
        26.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입된 관상용 부추속 종과 야생 부추속 종을 교배하고 새로운 품종을 얻기 위해서는 한국에 자생하는 부추속 종의 개화생리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장처리를 통해 자생 부추속 4종의 화아발달 및 생육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Phyto-Garden System에서 실시되었으며, 온도는 25℃, 습도는 70%로 유지 되었다. 꽃눈이 각 1개씩 출현한 개체를 이용하여, 2019년 6월 28일에 장일(LD, 16hours), 단일(SD, 9hours), 외부환경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LD와 SD처리에서 8:00~17:00(9h)까지 는 296±13μmol・m-2 ・s-1의 광도 하에서 실험하였다. 이후의 추가되는 시간은 형광등을 이용해 약 5μmol・m-2 ・s-1로 일장연장 (day extension, DE)처리를 하였다. 생육조사는 생장특성으로 초장, 초폭, 엽수, 엽장을, 개화특성으로는 꽃의 수와 개화소 요일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한라부추의 단일처리에서 엽수를 제외한 초장, 초폭, 엽장, 엽폭이 장일처리 및 외부환경 보다 높게 측정되어, 4종의 부추속 식물 중 한라부추가 추대 이후 단일처리에서 가장 생장이 왕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단일처리에서 개화소요일수는 각각 강부추 51.8일, 둥근 산부추 46.5일, 선부추 43.7일 그리고, 한라부추 52일로 나타 났다. 반면 장일처리의 개체들은 실험종료일까지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외부 환경조건에서는 부추속 4종이 평균적으로 97.2일째에 개화하였다. 본 실험은 자생 부추속 4종이 단일처리에서 외부환경보다 화아발달이 촉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4,000원
        2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riteria of folding techniqu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is will be realized by performing a case study on male fashion design and folding. It will propose diverse directions and data for male fashion design, by making men’s jackets using a folding technique. The concept and terms of folding were clarified through examinat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four pieces were created with motifs of the four seasons. Among the types of pleats expressed in the works, composition pleats include double ruffles, gathers, and draperies, while processed ones include box pleats, knife pleats, and accordion pleats. This study expresses continuity, fluidity, scalability, and ambiguity through the use of such pleats. The results of the produc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inuous use of regular and repetitive pleats, a possibility of rich pleats was confirmed because they varied depending on the gap between the pleat and target material. Second, in liquid but irregular pleats, diverse moods were created by the pleat movement. The overlapping of repeated pleats expresses diverse spaces and shapes in a 3D extended silhouette. Third, in pleat classification, ambiguity was confirmed with the use of continuous accordion pleats in the printed gradation fabric. It is anticipated that more diverse and creative designs could be created using more extended techniques in future studies.
        4,600원
        3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09–2019년 기간 동안 대전시 외곽의 도심개발에 따른 인근 하천(관평천)의 상류, 중류, 하류의 구간에서 4회 조사(2009, 2010, 2016, 2019)를 통해 이화학적 수질, 어류 종 조성, 생태 건강성 특성에 대해 장기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본 하천지역에서 도심개발은 2008년에 이루어졌고, 2012년에는 하천복원사업이 수행되어 하천복원 전과 후의 특성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를 위해 군집수준의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를 이용하였고, 어류의 기관(Organ) 수준에서 해부학적 건강도(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분석을 실시 하였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에서는 중류(St. 2)에서 가장 낮은 탁도와 엽록소(Chl-a)가 측정되었다. 이는 빠른 유속에 의한 물리적 요인 때문으로 나타났다. 어류 조사에서는 총 18종이 채집되었고,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우점 하는 종 (40.6%)으로 나타났다. 하천복원 직후(2016)에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과 충식종(Insectivore species)이 우점, 종 다양도 및 종 풍부도 지수 상승, 생태건강도 지수(FAI)가 상승하여 생태 건강도는 “최상상태(A: 87.5)”로 나타났으나 가장 최근 조사인 2019년에는 전 기간에 비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Organ) 분석에 의거한 해부학적 건강도 지수(HAI) 분석에 따르면, 피부손상(Skin)은 상류에서, 신장 손상(Kidney)은 하류 역에서 나타났고, 간(Liver)과 아가미(Gill)의 손상은 모든 지점에서 나타나 해부학적 측면의 건강도에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33.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세라믹 중공사 접촉막 모듈을 이용하여 CH4/CO2 혼합가스에서 CO2 분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높은 성능의 접촉막 모듈을 제작하기 위해 고투과성 중공사막의 제조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제조한 중공사막은 N2 기체투과실험을 통해 투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고투과도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CH4/CO2 혼합 기체 분리를 위한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 (HFMC)를 제작하였다. 실험에는 CH4/CO2 혼합 기체(34.5% CO2, CH4 balance)와 monoethanolamine (MEA) 를 사용하였으며, CO2 제거 효율이 흡수제의 유량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평가하였다. CO2 제거 효율은 액체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였으며, CO2 흡수 flux 또한 액체유량과 함께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4,000원
        3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ideo contents used in pattern drafting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YouTube videos in such education. Subject videos were selected using the number of views. A total of 596 videos and 28 channels were analyzed for the period July to September 201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content, there were 27 pattern drafting items, the majority being dress, pants, skirt, blouse and sleeve drafting, although high-level content such as cowl, bustier, corset patterns were also available. Therefore,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YouTube videos could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especially as supplementary references to provide specific examples and easy explanations for difficult concepts or method, for students majoring in this field. However, as most videos currently focus on a few items, expanding video content to features a wider variety of clothing items at different levels is necessary. With regard to video length, it mostly ranged from 10 to 15 minutes. It is not advisable to create lengthy lecture-style videos expounding on different principles or variations in pattern drafting when developing educational video material.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