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ffective nondestructive testing and monitoring techniques fo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and performance is described.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and performance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the structures and subject to abrupt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quake. A prompt and extensive inspection is required over a large area of earthquake-damaged zone. This evaluation process is regarded as a part of performance-based design. In the paper, nondestructive testing and monitoring techniques particularly for concrete structures are presented as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and performance. The concept of performance-based design is first defined in the paper followed by the role of evaluation of structures in the context of overall performance=based design concept. Among possible techniques for the evaluation,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for concrete structures using radar and a concept of using fiber sensor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structures are presented.
        4,000원
        22.
        2020.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the broader performance measures for the service supply chains by taking the case of Majan Electricity Company, Sohar, in the Sultanate of Oman. For an examination of the uniformity of ultimate objectives and the priorities therein, two strata of respondents with a total of fourteen respondents were approached for their valuable insights. Suitable structured instruments were personally administered to elicit the insightful and worthy responses. The two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techniques, namely, the Fuzzy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the Best-Worst Method were used to reach a meaningful prioritization of the identified and refined broader performance measurement dimen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minor gap between the two respondents’ groups in terms of their prioritizations. The major finding points to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topmost priorities as revealed by the two set of respondents. For one group of respondents, the customer satisfaction matters the most, whereas for the other group, it is the overall profitability that matters the most. This gap against the utopian state assists in concluding that there is a requirement to reorient the employees so as to have a shared and common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al priorities.
        23.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기준 의사결정 문제에서 항상 발생하는 가중치와 대안들의 평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제기되는 가중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순위가 뒤바뀔 수 있는 가장 민감한 평가기준의 결정과 대안의 효과 측정자료의 결정이 있다. 본 연구는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을 위한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해 가중합계법을 이용한 문제에 두 경우의 민감도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결정계수와 민감도 계수를 산정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민감도 분석 과정은 향후 수자원 계획 수립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24.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재시 인명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물 주요 구조부는 일정 성능의 내화구조로 시공되어야 하며, 이러한 내화구조로 구성된 방화구획 등에는 재실자의 이동, 설비류 시공 등을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개구부에는 화재시 건물내의 연소확대 방지를 위하여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댐퍼 등과 같은 연소확대방지설비가 설치되는데 건물에서의 연소확대는 주요구조부의 붕괴 보다는 이와 같은 개구부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설치되는 방화문 등 연소확대방지설비에 대한 기준의 정비 및 보완이 중요하다. 연소확대방지설비 중 방화문의 경우 외국에서는 방화문이 설치되는 부위의 내화성능 등을 고려하여 내화성능을 20분에서 최대 3시간까지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설치하는 모든 방화문에 대하여 일률적으로 비차열 1시간 성능만을 적용토록 하고 있어 화재발생시에 충분한 연소확대방지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외국의 방화문 성능기준을 검토하여 국내 방화문의 성능기준을 개선방향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국내의 방화문에 대하여 설치부위의 내화성능 및 설치용도를 감안한 차열성능의 추가, 피난계단·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로 통하는 출입구·샤프트·피난 통로 등에 설치하는 방화문에 대한 이면상승온도 제한 및 방화문에 사용하는 유리창 면적 제한 및 평가 등에 대한 검토 및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화재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성능설계, 이에 대한 실제 내화성능 평가 등을 통한 성능검증 등을 실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성능기준 등 제도개선안을 마련하고 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하여 방화문 성능기준에 대한 제도개선이 이루도록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5.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뭄상황 또는 가뭄이 임박한 상황에서의 저수지 운영은 수요관리개념(단계별 급수)에서의 운영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저수지 갈수대응 차원에서 수문상황에 따른 단계별 방류량 감소를 고려할 수 있는 heding 효과를 고려한 단일 저수지 운영률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hedging 효과를 고려한 최적운영률 결정에는 혼합정수계획기법이 적용되었으며, 정식화단계에는 Shih 등(1994)의 hedging효과를 고려한 운영률을 개선하여 정식화 요소에 Hashi
        26.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산, 진주와 밀양에서 수확된 사천006, 두산12 호와 두산2002 종자를 인위노화시켜 종자세를 조절하였다. 이들 종자로서 표준발아검사(standard germination test), 저온발아검사(cold germi-nation test), 전기전도도검사(electroconductivity test)와 Tetrazolium 검사(TZ vigor test)를 실시하여 포장출아율 및 수량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9가지 seed lot을 이용한 맥주보리의 포장출아율 예측에는 표준발아검사에서의 발아율만으로 65%의 예측효과가 인정되었고 표준발아검사에서의 유묘세와 저온발아검사에서의 유묘세와 발아율 parameter 또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수량 예측에는 TZ검사에서의 종자세 지수와 표준발아검사에서의 발아율과 TZ검사에서의 예측발아율이 효과적 인 parameter임을 알 수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