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41.
        201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research data of farmers quitting homestead in Jianghan Plain of Hubei Province PR.China, the thesis used the method of the differentiated evaluation and the document research to measure the household livelihood assets of farmers, analyze the diversity of farmers’ characteristics . According to the feasible ability of Sen, the probit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differentiated farmers' homestead quitting willingness were validated.The results showed that: (1)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ed evaluation method of farmers, farmer families can be divided into the asset deficiency and the asset balanced families;(2) the willingness of the farmers quitting homestead was only 20.57%; (3) From the general sample of view,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willingness of the farmers quitting homestead include “farmers’ age, education level、Value of total livelihood assets, identity of "identity" Subjective feelings about living environment and social securit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farmers, age、education level、the main source of family income and subjective feelings about living environment can be agreed by the asset deficiency and the asset balanced families, the asset deficiency families were also affected by quitting policy and job opportunity, and t the asset balanced families were affected by identity of "identity"and social security. Based on these, it is proposed that differentiated methods and policies of quitting homesteads should be implemented to households, the infrastructure, public service system and social security system of the farmers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roved, the countermeasures of farmers' participation and survival and development should be emphasized to precision compensation and funding,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mprove the protectio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rmers were ultimately achieved.
        42.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베트남 북부 산악지형에 거주하는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개선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 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베트남 경제사회개발정책(2011~2020)의 하위전략인 신농촌 개발정책(New Rural Development)에 의한 사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대두되었다. 한편, 베트남 라오까이성 행복프로그램은 한국 코이카 재원으로 새마을운동 경험과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심각한 빈곤상태에 있는 성내 8개 소수부족민 마을에 마을특성과 주민 의견이 반영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실행의 주체인 마을주민들과 현장 공무원에게 다양한 훈련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계개선에 대한 이론 고찰 과 함께 한국 및 베트남의 농촌개발 경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다양한 역량강화 사업들이 8개 소수부족 주민들 의 의식변화와 생계자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다양한 역량강화 훈 련들이 주민의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자산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도를 가져왔는바, 신농촌 개발정책은 직접자재 위주의 지원을 줄이는 대신 주민들의 자신감 고취를 위한 주민의식 교육과 주민들의 생계활동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사업을 확대해야 함을 보여준다.
        43.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orthern States of Malaysia comprises of four states (Penang, Kedah, Perlis and Perak) still record high poverty incidence eventhough Malaysia has experienced a remarkable reduction of poverty over the past century. Economic activities in Perlis and Kedah that are predominantly agriculture in the rural area contribute to this disparity. To add, rural households are also subject to risks and uncertainties that make them more vulnerable to povert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isks and assets on households’ vulnerability to poverty. A survey of 400 respondents was conducted in December 2015 in the northern region of Malaysia. From these 400 questionnaires, only 298 were considered valid and used in the analysis. Using a logistic probability fun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isks are not a significant threat to households. Gender and strata are crucial elements that significantly determine households’ vulnerability. While human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significantly reduce households’ vulnerability to poverty, physical and natural capital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and practitioners design strategies and policies with an assets-based approach. The asset-based approach is more appropriate for linking the causes of poverty to vulnerability.
        44.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상 세계(Virtual World)는 다수의 플레이어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아바타를 통해 한 공간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사이버 게임 공간이다. 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개발 중인 가상 세계는 전 세계적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된다. 이러한 가상 세계는 가입자들이 가상공간을 무료로 접근하고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에 대해 과금을 하는 방식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상 세계가 2000년 초부터 서비스가 시작되어 가상 세계의 수익 모델에 관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한국의 경우 게임을 무료로 즐기면서 게임 내 아이템 판매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에 대한 수많은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온라인 게임의 수익 모델과 외국에서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가상 세계의 수익 모델을 분석하여 게임 내 자산 판매 방식을 중심으로 생활형 가상 세계를 위한 효과적인 수익 모델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게임 내 자산 판매를 통한 수익 모델의 가이드라인은 생활형 가상 세계의 효과적인 수익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