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4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인 열대거세미나방(신칭; Spodoptera frugiperda (Smith, 1797))은 최근 전세계적에서 돌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농업 해충이다. 높은 비행능력을 가진 열대거세미나방은 2016년 아프리카를 시작으로 2018년 인도, 2019년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어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다. 한국에서 열대거세나방은 2019년 6월 13일 제주도 옥수수 재배 농가포장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 후 2019년 7월 초까지 전라도, 경상남도의 여러 시/군에서 추가로 발견되었다. 한국에서 최초 침입집단을 미토콘드리아 COI유전자를 이용하여 열대거세미나방임을 유전적으로 동정하였고, 서로 다른 분기군에 속하는 2개의 haplotypes(hap-1, hap-2)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분석된31개의 COI 염기서열 중 hap-1 이 93.5%로 우점하였다.
        4,000원
        5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파밤나방은 배추과 채소 등 여러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한 나방류 중의 하나이며, 돌발적으로 다발생한 경우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제주지역에서 배추과 채소 주요 재배지역인 제주시 한림읍에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파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시기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트랩에 최초 유인 시기는 4월 상순이었으나 3월 온도가 높은 해에는 3월 상순에 유인되기도 하였다. Karimi-Malati et al.(2014)의 발육온도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연간 발생세대수를 추정한 결과 4∼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성페로몬 트랩의 발생 절정기별 다음 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트랩 유인밀도와의 관련성을 2009년과 2010년 조사 자료에 대해 검토한 결과 연관성이 낮은 시기가 나타났다. 이 시기 NOAA의 HYSPLIT 모델(Rolph et al., 2017)을 이용하여 기류의 역방향과 순방향 궤적선을 추적한 결과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거리 이동에 관여하는 기상요인과 비래원은 6∼7월에는 장마전선 등에 의한 중국의 남중부지역이, 8∼9월에는 중국의 북동부지역으로 나타났다.
        6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ll armyworm (FAW), Spodoptera frugiperda J.E. Smith is a noctuid moth endemic throughout the Western Hemisphere that has recently become widespread in sub-Saharan Africa. In Asia, FAW was firstly reported at corn fields in India, SriLanka, Bangladeshi, Miyanmar and Thailand in 2018. In January 2019, FAW was also found in Yunnan province of China. In March 2019, the larvae which could be tentatively identified as FAW were caught at a corn field of Plant Protection Center of Lao PDR, which is located in Vientiane, Laos.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DNA barcoding using the COⅠ segment of the four larvae, which were found to be the haplotype of rice strain (COⅠ-RS). The host strain identity was additionally analysed as a Tpi-C (C-strain allele) by Triosephosphate isomerase gene (Tpi) segment located on the Z sex chromosome. The result shows that the FAW specimens in Lao is the subpopulation of COⅠ-RS/Tpi-C (COⅠ and Tpi haplotype combination). It was reported that COⅠ-CS/Tpi-C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than COⅠ-RS/Tpi-C in Western Hemisphere and Western Africa, but COⅠ-RS/Tpi-C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Eastern Africa. It can be supposed that the subpopulation of COⅠ-RS/Tpi-C in Lao is one of the subpopulations which have migrated into the Indochinese peninsula from Eastern Africa, with more detailed analysis for more diverse nationwide specimens left.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