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9

        61.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최근 20년(1989-2008년)간의 우리나라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남해안의 기상재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년 동안에 남해안에서 발생한 기상재해는 총 149건으로 연평균 7.5건이었다. 7월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월, 9월의 순이었다. 7-9월의 기상재해가 전체의 약 42%를 차지하였다. 계절로 구분해 보면, 여름에 가장 많았고(전체의 약 39%), 그 다음은 가을, 겨울, 봄의 순이었다. 여름에 기상재해가 가장 많은 것은 주로 태풍과 호우와 같은 기상현상 때문이다. 태풍 중에서도 특히, 남해안에 상륙하는 경우가 대규모의 인적 물적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와 같은 태풍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9112호 글래디스와 0215호 루사 그리고 0314호 매미를 들 수 있다.
        6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와 활발하게 연계되고 있는 스마트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농장경영 게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게임 내의 소셜 네트워크 플레이 경험이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보여지는 농장경영게임의 공간과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SNS 농장경영게임의 플레이 경험은 주로 세 개의 모듈, 정작 모듈, 환경 배치 모듈, 공간 확장 모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장경영게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간경험이론을 바탕으로 외적 투시공간, 내부조망 공간, 상징적 기획 공간으로 나누어 각 공간에서 일어나는 플레이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농장경영게임에서 플레이어는 고정된 시정을 통해 공간을 인식하고, 모듈을 재해석하여 재배치하는 데 있어 자신의 공간을 소셜 네트워크의 기본단위로 삼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간은 단순한 배정이 아닌,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서 필수적인 협력 플레이를 일으키도록 하는 주체적 역할을 수행한다.
        63.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10년간(1997-2006년)의 기상청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료를 이용하여 선박의 안전과 항만구조물 등의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산 해안의 바람분포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해륙풍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밀양의 바람분포 특성도 해석하여 비교하였다. 부산 해안의 평균풍속은 밀양보다 강하고, 부산 해안 중에서도 섬인 영도와 가덕도의 평균풍속은 일광, 해운대 및 대연의 그것보다 약 2.0배 강한 특성을 보인다. 상관분석에 의하여,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은 서로 변화 경향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부산 해안의 월별 평균풍속의 최대값은 9월에 나타나는데, 이는 태풍의 영향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최대 순간풍속도 섬인 영도와 가덕도에서 특히 강하고, 부산 해안의 최대순간풍속은 주로 8-9월에 그 최대값이 관측된다. 부산 해안의 풍향별 관측 횟수의 백분율을 살펴보면, 겨울은 남서풍-북북동풍이 우세하고 봄은 남서풍과 북동풍이 우세하다. 여름의 풍향 분포는 봄과 비슷하고, 가을의 풍향 분포는 겨울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64.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a tentative renewal guideline on spatial structure of the Hub-myun's center villages which would be positioned as sub-centers in the rural settlement hierarchy in Korea. Space Syntax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acilities in the center villages of 8 pilot project areas which were selected in the nationwide scale. The base-maps for spatial analysis works were prepared firstly from satellite pictures and adjusted through field check. Generally, connectivity and global integration values of center villages were calculated as higher than hinterland villages, which would mean better accessible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center villages. And a tentative renewal guideline was proposed for road route improvement and reloc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in the Hub-myun's center villages.
        65.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a renewal guideline for rural villages through the analysis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Space Syntax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in qualitative term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5 steps: Selection of amenity/disamenity classification table and case study villages(used same ones as in the previous study) → Drawing of base-map for spatial analysis → Preparation of final study-map after field survey → Spatial analysis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 → Proposing of a rural village renewal guideline. Through the application study to the case study villages, it was ascertained that the renewal guideline proposed in this study would well help reflect spati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in plan-making works of rural villages.
        6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성능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를 개발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지재로서 주로 Silicone 고무나 CPE(Chloride Polyethylene)가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공예에서 사용되어 오던 옻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옻의 전자파 흡수능을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옻을 지지재로 사용하여 MnZn 페라이트와 배합하여 전자파 흡수체를 제작한 경우의 전자파 흡수능 및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흡수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옻을 지지재로 한 MnZn 페라이트 복합형 전자파 흡수체는 CPE나 Silicone 고무를 지지재로 한 전자파 흡수체에 비하여 우수한 전파흡수특성 나타내었으며, 옻을 지지재로 사용한 전자파흡수체의 두께 변화에 따라 정합주파수와 전파흡수능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에 따른 댐 하류 유황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청댐이 위치해 있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댄 건설 전후의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분석해서 댐 하류 수표면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유황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서는 대청댐 하류에 위치한 공주 수위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해서 댐의 건설에 따른 하류 유황변화를 분석을 실시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댐의 홍수조절에 따른 홍수량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청댐
        68.
        200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인 Mononobe 분포법, Yen과 Chow 분포법, Huff 분포법과 heifer와 Chu 분포법을 강우-유출모형인 SCS 방법, Nakayasu 방법과 Clark 방법에 적용하여 최대 유출상황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 시간분포모형을 결정하였다. 각 강우-유출모형에 균등강우강도를 적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첨두유량의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에 적용한 강우-유출모형의 결과를 분석하여 유
        69.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연속방정식, 운동량방정식, 2차흐름의 연직분포식, 횡방향 하상경사식 등을 이용하여 단일만곡수로 뿐만 아니라 연속만곡수로에서 흐름특성과 하상변동을 분석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계산하였다. 단일만곡수로에서는 흐름특성치와 하상변동을 실험치와 비교하였으며, 연속만곡수로에서는 최대유속의 이동경로를 Vadnal 수치모형의 계산치, Chang의 실험치와 비교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중심각 인 유로만곡부에서 고정상 및 이동상의 조건으로 실험을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