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81.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ycling of bottom ash which is the part of the non-combustible residues of waste combustion is very important for saving energy and resource recycling.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develop recycling method for the bottom ash as the roadbase, the layer of aggregates under the paved layer of a road. We first removed ferrous and non-ferrous metals from the bottom ash with a 20 mm mesh strainer. After grinding ceramics and glass using jaw crusher, we mixed them with the bottom ash, and then they were further finely grounded up to the particle size less than 150 mm with ball mill. XRD analysis of the final ground material showed that the main ingredients were CaO, SiO2, Al2O3, P2O5, Fe2O3 and MgO. Also there were some heavy metals such as Cu2+, Pb2+ and Cr6+ in it. To make roadbase out of the processed bottom ash, we mixed it with purified sludge, pink kaolin (from Hadong, Gyeongnam, Korea), and silica sludge, and fired in an electric kiln at 1150 ~ 1200oC. Finally, the usefulness of the roadbase made of bottom ash was analyzed by testing absorption rate, crystallizing and strength as well as indoor California Bearing Ration (CBR) test, abrasion test, sand reduction test. The developed material from recycling the wasted bottom ash satisfied the requirement of roadbase properties.
        83.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남 지역의 제 3 기층인 하서리 응회암층의 중.상부에 부존되는 벤토나이트들은 원암의 암상과 화학조성에 의존되는 광호 양상과 광물상을 나타낸다. 벤톤나이트들은 대부분 안산암질 원암의 기원을 시사하는 희유 및 희토류 원소들의 함유 양상을 보이고, 현무암질 원암의 벤토나이트는 최상부의 일부 층준에만 그 산출이 국한된다. 이 지역의 벤토나이트는 주로 유리질 내지 라필리 응회암이 속성 변질된 것으로 이 과정에서 SiO2와 알칼리 (Na, K) 성분들이 고갈되는 화학 성분상의 유동 양상이 인지된다. 벤토나이트는 주된 광물 성분인 스멕타이트 이외에 흔히 단백석 및 석영같은 규산 광물과 휼란다이트, 모데나이트 및 클리높틸로라이트간은 불석광물들을 수반한다. 스멕타이트는 대부분 몰노릴로나이트 유형이지만 최상부 층준의 현무암질원 벤토나이트와 비교하여 논트로나이트의 광물 화학, X-선회절 양상, 층간 화학 및 염화학적 특성 등이 논의되었다. 이 지역 벤토나이트의 형성과정은 (1) 화산쇄설물의 급속한 퇴적, (2) 비이상적으로 높은 매몰 온도(〈80℃) 조건, (3) 규산 광물의침전에 의한 공극수 내외 H4SiO4의 제거, (4) 원암의 낮은 Si/al 함유비와 높은 Fe 함유도 등에 의해서 조장된 것으로 해석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