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12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영양진단에서 중요한 성분인 생체잎의 질소함량을 NIRS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최적의 검량식 작성에 관한 일련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 생체엽 질소함량 검량식의 결정계수는 익산, 정읍, 부안지역이 각각 0.879, 0.858, 0.819였다. Outlier를 제거한 후 검량식을 다시 작성한 결과 0.896, 0.878, 0.88~% 로 각각 0.017, 0.02, 0.061씩 향상되었다. Merge 기능을 이용하여 검량식을 합병한 후 검량식을 다시 작성한 결과 0.971로 정확도가 더욱 향상되었다. 벼 생체엽의 질소함량 검량식에 의한 분석값과 습식분석 평균값의 차이는 0.001~% 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서 건조와 분쇄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시료의 변질을 막을 수 있고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벼 생잎의 질소농도 측정이 근적외분석기술에 의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23.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rapid analysis method for determining protein and moisture contents of pea. Ninety and eighty pea (Pisum sativum L.) lin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s, respectively using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Simple correlations (~gamma ) of protein content in a ground sample and an intact grain sample by an automatic regression method were 0.978 and 0.910, respectively. Simple correlations by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LS/PCA) methods were 0.982 and 0.925, respectively. Standard error of performance (SEP) in protein content was the lowest value, 0.446 in ground sample by PLS/PCA methods. Simple correlation of moisture content was the highest at 0.871 in ground samples. when using a standard regression method. Accuracy for the moisture content was slightly lower than for protein content. It was concluded that the NIRS method would be applicable only for rapid determination of protein content in pea.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