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 귀주성과 광서장족자치구 생태박물관의 설립과 운영 주체, 구성 방식 등을 비교 분석한 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중국 생 태박물관이 일반적으로 서양에서 통용되는 에코뮤지엄과 어떤 유사성과 차별성이 있는지, 특히 그것이 국내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하는 에코뮤지 엄의 조성과 운영에 어떤 시사점과 방향성을 가져오는지를 모색했다. 이 어서 본 연구는 현장 방문을 통한 실증연구로서 중국 중앙정부 차원에서 노르웨이와의 국제 협력사업으로 조성한 귀주성의 생태박물관군(群)과 광 서장족자치구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연합체 방식으로 조성한 민족생태박 물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교연구에서 두 생태박물관은 영역 을 광역 자치단체로 한다는 점, 광역 안에 분산, 설립되었다는 점, 정부 주도 박 물관이라는 점 등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조성 주체와 관리 운영 방식 등에 있 어서는 차별성이 분명 존재한다. 이처럼 두 박물관은 조성 배경과 형태, 관리와 운영의 측면에서는 서양과 비교해 매우 이질적이라는 문제와 한계를 갖고 있지 만, 그러한 태생적 이질성을 극복하는 방법은 주민이 중심에 서야 한다는 것이 다. 이는 국내의 광역자치단체가 조성해왔고, 현재도 진행 중인 에코뮤지엄 개발 에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6,600원
        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ather than being representations of a single graphic community at one particular time or place, Zhuang traditional manuscripts often show signs of internal dialect variation, as well readings derived from different historical strata of Chinese. Readings from different historical strata are discussed at some length in the author’s recent Mapping the Old Zhuang Character Script (Brill, 2013) and ‘A Layer of Old Chinese Readings in Traditional Zhuang Manuscripts’ (BMFEA 2015).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look specifically at internal dialect variation. By internal dialect variation I mean that the characters or vernacular graphs used to represent the words in the recitation of a text show signs of having come from other localities and other dialects. I demonstrate that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Zhuang populations and social strata, as well as the circulation of texts, and can often be shown to correlate with known historical events which precipitated the movement of peoples. Furthermore, traditional texts provide evidence of hitherto unsuspected population movements, both upstream and downstream and further afield. I use a specific text as an example here: the Hanvueng scripture, for which Professor Meng Yuanyao and I have recently published a critical edition (Hanvueng: The Goose King and the Ancestral King, Brill, 2015).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discussion is that the internal analysis of vernacular texts can be used as a tool for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Zhuang communities.
        7,800원
        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壯族是中國人口最多的少數民族,主要聚居在廣西、雲南和廣東。壯族傳統上使用一種以漢字為基礎的文字,民間稱為「生字」(拉丁壯文:Sawndip),學界則稱之為「方塊壯字」或「古壯字」。雖然中國政府在1955年頒佈了拉丁壯文方案,但民間一直有繼續使用方塊壯字。本文以壯族人口比較最高的廣西德保縣、靖西縣為對象,從2003年至今定期到當地進行調查,考察方塊壯字在當代壯族社會的應用範圍。本文指出方塊壯字的主要用來記錄詩歌、壯劇、宗教儀式唱詞、諺語、電影壯語配音稿等,這些範圍都與壯語口頭文化有非常密切的關係。相反,凡是與口語關係不直接的讀寫活動,當地人民幾乎都只會以漢字漢文記錄,方塊壯字與漢字之間的功能分工非常清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