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孔子의 일평생 활동 중에서 敎學思想에 관해 고찰해보고자 한 글이다. 연구 방향은 ‘孔子의 敎學思想’에 관해 탐구하되, ‘敎’와 ‘學’을 따로 구분하여 그 의미를 탐구해보고자 하 였다. 대상은 공자의 언행 및 제자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論語로 하였다. 공자가 행한 ‘爲學의 과정’은 ‘爲己之學’ 즉 자신을 위한 학문을 통한 내면의 성찰이 우선시 되었으며, 지속성을 갖춘 학문적 사색의 과정을 동반하였다. 이는 문물에 대한 博學으로 이어 져 학문적 깊이와 외연의 확대로 이어져 갔다. 스스로 배움을 좋아한다고 강조한 공자의 ‘好 學’에는 학문에 대한 篤信과 ‘正道’를 향한 올바른 방향의 정립이 세워져 있었다. 이러한 학문 의 正道는 아래로 인간의 일을 배워서 위로 하늘의 이치를 통달하는 과정으로 들어가서는 人 事와 天理가 터득된 시의 적절한 權道의 구사로 이어졌다. 공자의 가르침은 ‘詩·書·禮·樂’ 외 政事 등 많은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가르침의 대상에는 차별을 두지 않았으며, 일반 백성들에게도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가르침의 문호는 모두에 게 개방시켜 놓았으며, 피교육자가 스스로 깨우칠 수 있도록 단계를 밟아가며 인내심을 가지 고 지켜보는 자기계발식 교육을 행하였다. 가르침의 방식에서는 피교육자들의 장점을 잘 드러내어 격려하였으며, 치우친 점은 스스로 보완할 수 있도록 드러내어 일러주었다. 가르침의 방식에서 돋보이는 점은 상대방과의 문답을 통한 대화의 방식이다. 많은 제자들과 여러 나라 의 군주와의 사이에서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였다. 즉 공자의 교학사상은 가르침과 배움이 둘 이 아니라 가르침과 배움이 서로 결부되는 하나의 이미지로 조합된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 적으로는 스승과 제자가 함께 성장하는 ‘敎學相長’의 실천적 모습을 보여주었다.
        5,700원
        2.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퇴계 이황(李滉)이 1561년에 도산서당 축성 때에 쓴 <도산잡영>의 병기문인 <도산기>는 도산서당 건립배경과 과정, 주변의 경관에 대한 단순한 기록문만 아니다. <도산기>는 도산서당의 건학이념은 물론이고 평소 퇴계가 교육자로서 지니고 있던 신념을 담고 있다. 또한 퇴계의 삶에 대한 철학적 태도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인간이 산수자연에서 생활하는 가운데 황폐화된 마음이 맑고 밝은 마음으로 다듬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산수지락과 안빈낙도를 통하여 자연과 어울려 조화로운 삶을 구가(謳歌)하는 가운데 인격수양을 할 것과 학문에 정진하여 힘써야할 것을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산기>는 교학사상의 글인 것이다. 이러한 퇴계의 교학사상을 담고 있는 <도산기>는 현대에 살고 있는 젊은 청소년들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고, 정신적 세계를 맑게 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좋은 청량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