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시기, 한국에서는 많은 양의 한문 시가(詩歌) 총집(總集)이 출판되었다. 그 러나 한문 시가 총집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며 많이 유실되었는데, 조소앙(趙素昻)은 한국의 문헌들을 보존하기 위해 시대별 시가 작품을 수록한 한국문원(韓國文苑)을 편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그가 적극적으로 저작 활동을 한 것은 당시 식민 지배를 받던 상황 속 저항적 행위라 할 수 있었고, 그에 의해 편찬된 문헌들은 현재까지 계 승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주지할 것은 조소앙의 한국문원에 수록된 시들 이 시대순으로 작품을 수록한 것 외에는, 어떠한 규율도 발견할 수 없고, 작품을 창j avascript:void(0);작한 저자의 출생, 사망 연도와 같은 정보들 또한, 규칙 없이 나열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한국문원이 집필될 당시 저자의 의도가 주로 선조들의 작품을 보존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이 글은 조소앙 의 저작 한국문원을 중심으로, 조소앙이 저작을 편찬하려 했던 의도와 그의 편찬 방식, 작품의 출처, 작가의 관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근현대 시기 한국 한 시 작품을 정리한 조소앙의 저서를 분석하는 것은 과거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상흔 을 입었던 한국이 과거 문학작품들을 보존하려 했던 방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이것 은 문인들이 강압적 권력에 저항했던 역사를 반추하게 하고, 한국의 문화적 유산을 복구하는 과정이기에 중요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1878~1938)와 소앙 조용은(1887~1958)은 한국 근대 민족운동을 이끌었던 지도자였다. 안창호가 글쓰기보다는 대중 연설과 대중의 조직을 결성하고 이끌었던 실천적 행동가 유형이었다고 한다면 조소앙은 운동의 이론적 체계 확립에 중점을 두었던 학자풍의 이론가였다고 할 수 있다. 두 사람은 연배의 차이도 있고, 성장환경과 학문적 배경이 달랐다. 그리고 중국에서 함께 활동하기 이전에는 미국과 유럽의 문물을 경험했다는 점도 달랐다. 그러나 두 사람은 1920년대 이후 중국이라는 이국 땅에서 독립운동을 함께 전개했다. 그들은 대한 민국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이라는 민족주의적 독립운동 조직 내에서 함께 활동하였다. 1920년대 중반에는 이승만 대통령을 둘러싸고 서로 대립하기도 했지만, 1920년대 후반 민족유일당운동을 전개하면서는 서로 뜻을 같이 하였다. 이때 두 사람은 좌우익의 이념적 대립을 해소하고 통일적인 독립운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념과 주의의 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안창호는 대공주의를, 조소앙은 삼균주의를 내세웠다. 필자는 이미 조소앙의 생애와 삼균주의에 대해 연구한 바가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조소앙의 삼균주의 자체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안창호의 대공주의나 다른 사상체계와 비교하는 작업에는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안창호의 대공주의와 조소앙의 삼균주의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미처 참고하지 못했다. 따라서 1930년대 초 조소앙에 의해 체계화 된 삼균주의를 안창호는 대공주의라는 용어로 표현하고자 했다는 사실만 지적했을 뿐, 대공주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않았다. 이에 양자의 구체적 관련성을 조사하거나 양자를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안창호의 대공주의의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나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대해서는 그가 남긴 직접적인 자료가 없다고 한다. 따라서 후대의 사람들이 그의 대공주의를 어떻게 기억하고 설명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면서 접근할 수밖에 없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안창호의 대공주의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를 밝힌다. 그리고 대공주의가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어떤 관련성이 있 다고 이해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조소앙의 삼균주의에 대한 필자의 연구를 토대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