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인 유아 한자교육은 많이 베껴 쓰는 방식, 곧 한자를 개별적으로 학습하 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방법 아래서 유아들은 한자와 단 어를 기억하기 매우 어려워 매우 쉽게 학습의 곤란함을 느낌으로써 계속하여 학 습에 대한 흥미를 잃어왔다. 본 연구는 종합 고효율 한자교육방법을 이용하여 한 자를 학습하게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한자와 단어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학습하 게 하는 방법은 유아들에게 한 조로 묶여진 한자와 단어를 계통적으로 기억하게 함으로써, 뇌 속에서 한자와 단어를 네트워크로 구성함으로써 유아들의 머리 속에 풍부한 어휘저장고를 형성하게 하였다. 연구대상은 4-6세의 홍콩의 취학전 유아(78인)로, 두 개의 연령별로 조를 나누 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실험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로 나누어 각기 성적을 측정 하여 새로운 교육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두 개 연령으로 이루어진 각 조들의 유아 한자학습능력과 연상자 능력이 모두 현저한 증가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동시에 수업 현장 분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유 아들의 학습 성과에 대해 연구하고, 유아들의 한자와 단어를 네트워크화 시키는 작품을 분석하여 두 조의 유아들이 한자와 단어를 연결하는 능력을 이해해 보려 하였다. 실험 결과 두 조의 유아들 모두 한자 학습에 매우 깊은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 중에 주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할 뿐 아니라, 그들 모두 매우 빠른 시간 안에 한자의 형음의를 익혀,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한자를 학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또한 유아들은 연령에 따라 한자와 단어를 결합하는 능력 이 더욱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000원
        2.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적인 고효율 한자교육법』중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을 집중적 으로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한자를 배 우는 초학자들이 한자의 인식에 끼친 성과를 알아보자는 것이다. 본문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의 학습 이론과 교육 실험, 교육의 응용 예시 등을 기술하였다.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은 부건(部件)을 위주로 제시되는 교육방법 으로, 상용되는 한자 부건의 교육과 인식을 통하여 초학자의 한자 학습을 더욱 용 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홍콩의 어느 초등학교의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들은 사 실 한자교육에 있어 초학자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을 대상으로 삼아, 이 논문 의 설계에 따라 부건 한자 학습법을 이용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설계한 한자교재를 연구 도구로 삼아, 교육 시행 이전과 이후 수치에서 드러나는 학습 성적을 비교하 고,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실천에 따른 성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방법은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학습 능력을 제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부건을 통한 한자 교육을 통하여, 77개의 상용 부건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것을 학습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을 서로 분해하거나 조합하면서 다량의 새로운 한자를 학습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한자학습량 증가율은 『부건을 통한 한자교육』이 학생의 한자에 대한 민감도와 한 자학습량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