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through sensory experiences,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s exhibition Sleeping beauties: Reawakening fashion. It aims to explore the creative and innovative potential of fashion design that utilizes sensory experiences while proposing new directions for future fashion exhibitions and the design field. The research scope includes 220 garments and accessories featured in the exhibit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this research classifies and examines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s of olfactory, tactile, visual, auditory, and multi-sensory experien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olfactory experiences enhance emotional engagement by integrating fragrance with storytelling, while tactile ones increase immersion through fabric texture and structural elements. Visual experiences strengthen aesthetic appeal and narrative through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nd lighting effects, while auditory ones convey the emotional messages of fashion design using sound and music. Additionally, multi-sensory experiences combine multiple sensory elements to provide viewers with an immersiv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This study confirms that sensory experiences expand the creative possibilities of fashion design and suggests new exhibition strategies that integrate sustainability and digital technology. Beyond simple stimuli, sensory experiences foster emotional connection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fashion design’s artistic and cultural value. Therefor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sensory experiences with creative approaches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to amplify the social and artistic impact of fashion design.
본 연구는 시야에 발생하는 현저한 시각적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과 양안경합이 초래한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변화탐지 경험의 감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2, 4, 6개의 항목을 단기파지 한 후 뒤이어 제시되는 검사항목과의 비교를 요구하는 변화탐지 과제가 사용되었다. 전체 변화탐지 시행 중 시각적 변화가 발생한 일부 시행에서는 검사항목 중 변화를 야기하는 한 항목에 양쪽 단안 분리 입력을 통해 서로 다른 항목이 제시되는 양안경합을 처치하였다. 실험 결과, 양안 경합이 처치되지 않은 경우 항목 개수 증가에 따른 변화탐지 정확도의 분명한 감소가 관찰된 반면 양안 경합이 처치된 경우 이러한 항목 개수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항목 개수를 4, 8, 16개로 달리하는 탐색 배열 중 양안경합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을 보유한 표적 항목에 대한 탐색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양안경합 처치 유무에 관계없이 탐색이 매우 효율적인 것이 관찰되었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시야의 현저한 변화에 대한 탐지 경험은 기억부담의 증감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양안경합 자극이 초래하는 감각적 상충에 대한 탐지 경험과 유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