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풍수 고전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한국지형에서 나타나는 지장혈에 대한 사례를 찾아서 제시하고 그 결혈조건과 특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지장혈은 손바닥 모 양의 장심혈과 손가락 모양의 지혈을 말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손가락 모양의 지혈만 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중국 풍수 고전의 문헌조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지형에서 지장혈과 닮은 7개소의 묘지를 현장 답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지장혈이 나타난 곳은 3개소로서 한국지형에서도 지장혈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 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지장혈이 결지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지장 혈만의 여러 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지형에서도 지장혈이 존재하고 있다 는 사실을 찾아내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향후 보다 많은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지형에 맞는 지장혈의 이론적 체계가 정립되기를 기대한다.
횡룡입수로 결혈되는 혈은 그 위치에 따라 세 가지의 유형이 나타나는데 유형별로 구분하여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횡룡입수’로 여기고 있다. 이는 횡룡입수에 대한 개념이 풍수학계나 술사들 사이에서도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혼용하여 인식되고 있는 횡룡입수에 대한 세 가지 유형의 결혈조건과 결혈 원리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는 동시에 횡룡입수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횡룡입수의 세 가지 유형별 형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 결혈조건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제1형의 경우 세 가지, 제2유형은 여덟 가지의 결혈조건이 있으며, 제3유형은 직룡입수와 동일한 결혈조건을 갖추고 있다. 횡룡입수의 각 유형별 결혈조건을 고려한 지기입력의 원리는 제1유형의 경우 당배 귀사가 뒤에서 쳐주어 혈장 쪽으로 지기를 입력하는 원리가 되며, 제2유형은 당배귀사의 힘에 의하여 일정거리 내려오다 혈장으로 지기를 입력시키는 혈 형성 원리가 성립되며, 제3유형은 일반적인 직룡입수혈의 형성원리가 성립된 다. 이러한 결혈조건과 지기입력 원리를 근거로 횡룡입수를 유형별로 개념과 용어를 정리하면 제1유형은 ‘횡룡입수’, 제2유형은 ‘횡락섬룡입수’, 제3유형은 ‘횡락직룡입수’라 정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