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국교회의 괄목할 성장에 기여한 역사적, 정치적, 인류학적 요소들을 연구한다. 연구자는 한국교회 성장을 용이하게 한 몇몇 핵심 요소들과 더불어 하나님의 완벽한 타이밍의 역사가 결정적이라고 주장한 다. 역사적으로, 이 논문은 가톨릭교회의 초기 순교와 북한 그리스도인들의 공헌들에 진 빚을 강조한다. 성경의 한국어 번역과 네비우스 방법의 영향 역시 역설한다. 정치적으로, 이 논문은 정치적 불확실성과 독립과 민주화 운동들에 교회의 참여가 어떻게 성장을 촉진했는가를 연구한다. 인류학적 으로, 이 논문은 어떻게 그리스도교가 한국인들이 느끼는 필요들, 특히 사회적 불평등들과 종교적 진공상태들을 충족시켰는지 초점을 맞춘다. 이 논문은 최근의 한국감리교회의 감소세를 강조하며 물질적인 복의 지나친 강조와 일상생활로부터 신앙의 분리 등을 지속적 교회 성장의 장애물들로 언급함으로써 결론을 맺는다. 연구자는 지속적인 한국교회의 성장을 위한 방향들로 영적인 복의 새로운 강조와 깊숙한 공동체 참여와 믿음과 삶의 전체적 통합(성속일여) 등을 제안한다.
파리목 곤충의 청각기관은 더듬이의 존스턴 기관으로 알려져 있어, 소리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 더듬이의 반응을 EAG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순음(사인파)과 아메리카잎굴파리 및 다른 3종의 구애노래를 절제된 아메리카잎굴파리 머리에 노 출시키고 EAG를 통하여 반응을 관찰하였다. 순음의 경우 20 Hz의 저주파에서만 EAG 반응이 관찰되었다. 구애노래의 경우 검정발노랑굴파리(Cryptonevra inquilina) 와 일본의 Lipara japonica 구애노래에 대한 반응이 나타났으나 아메리카잎굴파 리 수컷의 구애노래에 대한 암컷의 EAG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된 음파에 대한 반응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2차원 궤적 추적을 추가적으로 실행하였다. 기록 된 궤적은 x축 궤적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소리에 대한 유인효과를 조사하였고, 궤 적의 정보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활동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x축 평균값은 소리에 대한 차이가 없어, 소리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유인효과는 관찰하지 못 하였 다. 처녀 수컷과 암컷, 교미한 수컷에서는 소리를 노출시켰을 때 정보 엔트로피 값 이 감소하여 활동성이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으나 교미한 암컷에서는 활동성의 차이가 없었다.
Recently, the fact that welding conditions are dangerous for men and the shapes of seams are complex enforced the welding system to be automatic. In order to obtain this target, are chip Microprocessor controlled welding system is devised in this study. The tracking of seam shape is achieved by applying a differential transformer and by using a program developed. This welding system mainly consists of a sensor, the differential transformer, a servo power amplifier, a control system, and DC motors. It is verified that the developed welding system is able to track three kinds of seam sha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