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패류양식업이 밀집한 남해 강진만 해역에서 수하식 및 살포식 양식해역과 비양식해역을 구분하여 양식활동으로 인한 유기물 축적과 저서다모류군집 변화를 파악하고, 어장환경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건강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남해 강진만 해역의 평균 입도, 수온, 염분농도, 총유기탄소 등의 시·공간 분포는 정점간에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출현 종수, 개체밀도와 종다양도 등은 살포식 양식 해역의 정점이 다른 해역의 정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집괴분석과 주요좌표분석 결과에서도 살포식 양식해역 정 점의 저서다모류군집이 나머지 정점의 군집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수하식 양식해역의 정점과 비양식해역 정점에서는 오염지시종인 Scolectoma longifolia와 Sigambra tentaculat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수심과 해수 유통 등의 물리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부 정점 을 제외하면 점유율이 높지 않았다. 강진만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는 1~2등급으로 양호한 상태였다. 그러나, 다모류군집구조의 시·공간 분 포와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를 고려하면 살포식 양식해역의 퇴적환경은 양식으로 인한 물리적인 교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4,300원
        2.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ottom sediments and water samples of Kangjin bay area, southern coast of Korea, which is characterized by semi-enclosed and mesotidal regime were analyzed to delineate the source and transportation of surface sediments,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The surface sediments which consist of silt, sandy silt, gravelly muddy sand, slightly gravelly muddy sand, gravelly sand, gravelly mud, and mud in the study area, could be defined with three fades ; sand fades, mud fades and gravel facies.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is interpreted as channel and mud flat. Based on the occurrence of silicoflagellates in biogenic sediments and mineral constitnents including quartz, orthoclase and plagioclase, and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t is indicated that the most of the surface sediments in Kangjin bay are transported from Tamjin river, and the minor part by tidal current after reworking and transportation from offshore area.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