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을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자극물과 소비자 감성 척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극물은 넥타이 폭(좁은, 중간, 넓은), 스트라이프 배열(가로, 세로, 사선), 스트라이프 면적비(1:1, 1:2, 1:3)로 된 27개의 컬러 그림으로 조작되었으며, 소비자 감성은 7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서울, 광주, 대구, 진주, 창원 등지에 거주하는 20-30대 성인남녀 27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11월에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변량분석과 Duncan-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넥타이의 폭, 스트라이프의 배열과 면적비에 따른 소비자 감성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 활동성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넥타이 폭은 매력성,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라이프 배열은 매력성, 품위성, 개성, 능력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고,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품위성에서 독립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넥타이 폭과 스트라이프 면적비는 능력성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넥타이 상품 기획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체크패턴의 폭과 색채조합에 따른 넥타이의 감성이미지를 알아보는 데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도구는 체크문양의 폭(소: 0.2cm, 중: 1cm, 대: 2cm), 색조조합(유사: 하양+밝은, 반대: 하양+어두운), 색상조합(WR: 하양+빨강, WB: 하양+파랑, WG: 하양+회색)으로 만든 총 18개의 사진 자극물과 체크넥타이의 감성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의미미분척도를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경남에 거주하는 여대생 216명을 대상으로, 조사는 2009년 9월에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량분석과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크패턴의 폭과 색채조합에 따른 넥타이의 감성이미지를 요인분석한결과 매력성, 젊음, 현시성, 품위성, 온유성의 5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폭은 현시성 차원에서, 색조조합은 매력성, 현시성, 품위성, 온유성 차원에서 독립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두 변인 간에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매력성 차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색상조합은 감성이미지의 모든 차원에서 독립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색상조합은 폭과 상호작용하여 매력성, 젊음, 현시성, 품위성 차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고, 색조조합과 상호작용하여서도 매력성, 젊음, 현시성 차원에 두드러진 단서로 작용하였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