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ercentage of vehicle overturning accidents is 16.3% of vehicle alone fatal accidents, with a fatality rate of 9.0%, accounting for a high proportion, and heavy vehicles with a high center of gravity are vulnerable to overturning accidents. In the standard guidelines of Super-Bus Rapid Transit(S-BRT),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physical facilities that separate buses from other traffic on dedicated bus ways, and lane separation facilities are being developed. To develop low-profile lane separation facilities that do not interfere with sight obstruction for pedestrians and driver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height of lane separation facilities to prevent overturning crashes of heavy vehicles. METHODS : Heavy vehicle impact conditions of 8ton-55km/h-15°, 8ton-55km/h-20°, 8ton-65km/h-15°, and 8ton-65km/h-20°were applied to compare the vehicle behavior by the height of lane separation facilities using LS-DYNA, a three-dimensional nonlinear impact analysis program based on speed and angle changes. In addition,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fter the collision was analyzed to examine the impact conditions in which an overturning crash occurs when a heavy vehicle collides with a low-profile lane separation facility and the appropriate height of the facility to prevent overturning. RESULTS : In general, under the 8ton-65km/h-15°condition, which is a heavy vehicle impact condition used in the performance standard of the barrier, the vehicle’s behavior after the collision was stable as the height of the lane separation facility increased. CONCLUSIONS : Therefore, when the impact conditions were 8ton-65km/h-15°or less, it was determined that the appropriate height to prevent the condition of the lane separation facility was 400mm or more.
        4,000원
        3.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기초 및 응용과학분야의 최첨단연구에 활용하여 우리나 라 기초과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 구축 및 운영을 위 해 2016년까지 30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총 7,879억 원 가량이 투입된 거대연구시설이다. 3세 대 방사광가속기 정책과 관련하여 가속기의 필요성이나 효과성에 대해 다양한 평가가 있어 왔지만 대체로 현재 시점의 성공적 결과를 강조하며 향후 정부의 지속적 지원 필요성을 피력 하거나 정책적 개선방안을 포괄적인 차원에서 제시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며, 이 사업이 시 기별로 어떠한 정책적 평가를 받았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가 어디에서 기인하는지 체계적으 로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 사업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평가하되, 분석기준으로 정책활동의 다섯 가지 기준을 고려하였다. 장기간 진행되는 대형연 구시설 정책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방사광가속기 및 유사 대형연구시설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서 요구되는 정책활동의 원리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