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ole of lines in creative design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using geometric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of works since 2009 to examine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lines together with analysis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ymmography in the formative arts field, and to analyze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design using the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The infinite sense of formativeness and original expression of symmography are used in formative arts such as space design, installation art, and industrial design. Expression types of moder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formativeness of symmography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two-dimensional graphic pattern, relief surface, and threedimensional spatial. First, the two-dimensional graphic pattern type forms an optical pattern, providing individuality and visual interest to the textile design. Second, the relief surface type expresses the plane in various ways, so that the thickness changes according to how lines overlap. Third,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type expands the boundaries of clothing and creates a fantastic spatial beauty. Nex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fashion design using symmography can be classified into repetitive rhythmicity, geometric self-similarity, and optical spatiality. Symmography enables a myriad of geometric patterns to be developed depending on material, color, and the designer’s imagination, and helps inspire a variety of designs in fashion that sculpt a three-dimensional human body.
        4,500원
        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bag design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given the newtro trend pursuing analog sensitivity in modern society. The methods and scop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data were re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gs of the West and East. Nex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assel and fringe decoration in terms of the history of clothing were analyzed. Finally, the expression types and aesthetic formativeness of tassels and fringe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bag design shown in the fashion collections since 2010. The bags decorated with the tassels and fringe bring a variety of visual effects depending on the attachment position, direction and material composition, concentrating the gaze and radiating original style.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assels and fringe in modern bag design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rface decoration, shape variability, and object combination. Next, the aesthetic formativeness of modern bag design using tassels and fringe as decorative elements appeared through the mixture of heterogeneous materials and playfulness through imagination, exaggeration through extension of length and volume, and retro characteristic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ve ideas of modern bag design which requires a global sense, which has been used in various cultures for a long time.
        5,100원
        3.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 기물과 함께 풍부한 소재와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시켜온 오색전지공예에서 문양을 중심으로 기호학 적 분석방법을 도입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여 상징을 드러내는지 검토한 것이다. 연구는 첫 번째로 전통 기법을 바 탕으로 현대적 공예 디자인으로 발전해 온 과정을 살피고 관련문헌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면서 전통문양의 일반적 상징의미 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는 기호로서 오색전지공예문양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분석과 현대적 재해석에 적절한 여러 갈래의 기호학 이론을 살폈다. 여러 이론이 도입된 배경에는 롤랑바르트의 신화체계만을 도입할 경우 민간의 무의식이 침잠된 본 래의 인류 문화적 문양분석이 방기되는 결점 때문에 그 보완으로 소쉬르, 그레마스, 퍼스의 기호학 등 여러 학자의 기호학 을 고찰하면서 이론적 체계를 정리했다. 세 번째로 전통적 분류방식에 대해 포커스 샘플링으로 취한 7개 유형의 문양기물 을 사례로 들어 해석방식이 아닌 추론방식의 기호학 이론을 원용하여 분석했다. 방법으로는 동물, 식물, 길상, 기하, 자연, 음양사상 등 전통분류 소재에서 포커스 샘플된 7개 전통문양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단순히 불로장생과 악귀퇴치, 자손번창을 기원하는 상징성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지각적으로 체험되는 고상함, 자유, 활동성, 관능성 등 조형적 특 성이 의미복합체로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통문양이 기호로서의 문양, 대상으로서의 기물, 해석소로서의 상 징성과 함께 이데올로기로서의 신화인 1차성, 민간설화이야기의 2차성, 조형적 미의식의 3차성의 기호를 가지고 있는 것으 로 분석된다. 3차성의 기호는 전통문양의 재해석부분으로 현대생활에서 문화상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가이드라인 을 제시했다.
        4.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행사만이 아닌 자국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보여주기 위한 국제적인 행사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올림픽 포스터의 역할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8개의 올림픽 포스터에 표현된 디자인 조형성을 살펴보고, 과 거에서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시대별로도 나누어 디자인 조형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28개의 포스터 중 일러스트레이션은 회화 12개, 그래픽 10개, 엠블럼 6개 순으로 표현되었고, 색채는 난색 12개, 혼합색 9개, 한색 7개 순으로 표현되었으며, 레이아웃은 비대칭 15개, 대칭 13개 순으로 표현되었고, 타이포그래피는 산세 리프 15개, 세리프 10개, 캘리그라피 3개 순으로 표현되었다. 시대별 디자인 조형성 분석으로 도입기 포스터는 12개이며,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회화 12개, 색채에서는 난색 7개, 레이 아웃에서는 비대칭 9개, 타이포그래피에서는 세리프 7개가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확립기 포스터는 9개이며, 일러스트레이 션에서는 그래픽 6개, 색채에서는 혼합색 4개, 레이아웃에서는 대칭 7개, 타이포그래피에서는 산세리프 7개가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변화 확장기 포스터는 7개이며,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그래픽 4개, 색채에서는 혼합색 2개, 레이아웃에서는 비 대칭 4개, 타이포그래피에서는 산세리프 4개가 가장 많이 표현되었다. 따라서 디자인 조형성은 올림픽의 역사만큼 포스터도 다양하게 변화하였으며, 회화적이고 클래식한 표현에서 탈피하여 개 최국의 그래픽 디자인의 수준과 예술적 감각을 자랑하는 매우 상징적인 포스터로 진화해 가고 있었다.
        5.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태평성시도>에 나타난 간판디자인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간판문화의 형성은 개항 기에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에 주로 영향 받은 것으로 보여 지며, 간판이라는 단어가 우리 문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1907년 󰡔대한학회월보󰡕를 시작으로 보고 있다. 당시에도 간판에 대한 크기나 색상 등 조형적 문제를 이슈로 다루 었던 기사가 나타난다. 이 당시 시작되었던 간판의 크기나 지나친 표현 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사회적문제로 지속되고 있 는 사안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전통기의 간판 사용과 그 조형성을 살펴보고 특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 구대상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태평성시도>를 선택하였다. <태평성시도>는 성시의 여러 생활상 을 담고 있는 일종의 풍속화로 당시의 상업시설과 상행위를 중심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이 그림에는 간판으로 불리어지는 초패와 등간이 나타나는데, 초패란 나무판에 글자를 쓴 것이고, 등간은 상품이나 업종을 형상화한 상징물을 장대에 걸어 놓은 것이다. 연구방법과 연구기준은 <태평성시도>에 나타나는 초패 총63개, 등간(燈竿) 총285개를 대상으로 구조, 형태, 색상, 내용, 서체를 중심으로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초패의 크기측정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양동민속마의 ‘대성헌’을 잣 대로 하였다. <태평성시도>에 나타난 간판디자인의 조형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형태적 측면에서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면적이 작아 간판이 건축물의 원형미에 최소한의 범위에서 개입하고 있다. 2. 언어적 측면에서는 상호나 상품에 대한 직접적 표현보다는 유교적 의미에 부합하는 글귀로 대신해 언어적 품위를 보이고 있다. 3. 수량적 측면에서는 좌우 두 개만 설치되어 있어 건물과 균형적 조형미를 느끼게 한다. 4. 윤리적 측면에서는 초패로 인한 교통 불편을 최소화 해 상반상생의 디자인윤리의식이 드러나 있다. 5. 색상에서는 시각적 혼란이나 자극적 색상을 줄이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정서 적 안정감을 주고 있다. <태평성시도>에 나타나는 간판디자인은 현대사회의 간판디자인과 조형의식에 한국적 간판의 원형 적 가치가 담긴 유용한 사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간판 연구를 위한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