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 문항의 질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1회와 2회 예선 및 본선 문항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위해 내적 및 외적 문항 분류틀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고전 검사이론을 적용하여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상관계수, 그리고 신뢰도를,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일반화가능 도를 각각 추정하였다. 문항 분류틀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 차원에서는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 지식 및 탐구과정 차원에서는 자료 분석 및 해석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맥락 차원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문항이 교과서적인 상황을 토대로 한 것이었다. (2) 요구 사고 수준에서 예선과 본선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문항 표현 범주에서는 그림의 사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문항 유형 범주에서는 예선은 선다형과 단답형의 비율이, 본선은 서술형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문항 형식 범주에서는 중학부와 예선은 단독형의 비율이 높고, 고교부와 본선은 복합형의 비율이 높았다. 문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부는 대체로 난이도가 낮고, 변별도는 적절하였다. 그러나 고교부는 일반고와 과학고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 중학부는 대기 영역과 총점과의 상관이, 고교부는 천문 영역과 총점과의 상관이 가장 높았다. (3) 양호한 문항이 가장 많은 일반고부의 문항 내적 일관성신뢰도와 일반화가능도가 가장 높았다. (4) 일반 고는 출제된 문항 수로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 도에 도달되나, 중학부나 과학고는 출제된 문항보다 2배 이상 많은 문항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roduction of a speaking and writing test is of greater importance because it is becoming more central to language assessment,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communicative language instruction. In order for a writing test to be reliable and valid, the item difficulty should be the same across different test forms. In line with this test equivalenc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writing item difficulty in Level 2 of the NEAT using two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a) focus-group meetings with researchers, professors and teachers who specialized in English education, and b)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took Level 2 of the NEA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affected writing item difficulty: a) topic familiarity, b) topic concreteness, c) the extent to which a topic elicits negative feelings from test-takers, d) concreteness of a given writing prompt, e) the extent to which a given writing prompt elicits diverse words, and f) the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required to complete a given writing task. Based upon the study’s results, further research about teaching and testing writing skills i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