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purpos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a goalkeeper's Müller-Lyer posture illusion on the offense's judgement on what direction to throw the ball.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ten handball players with more than ten year experience and other ten beginners with experience less than a year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Every subject performed the task of perception/judgement by watching the video of a goalkeeper on the screen varied by the Müller-Lyer posture illusion, the task of judging the size, the task of judging location of the ball, and the task of throwing the ball. For the experiment, a beam projector, screen, video of goalkeeper's Müller-Lyer posture illusion and mouse motion tracing equipment were used. The group and condition of showing stimulation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In case of the experienced players, first, the wing out posture of the goalkeeper looked bigger in the task of perception/judgement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he results between the task of judging location desired to be thrown and the location of the thrown ball in accordance with the posture. In case of the beginner players, the task of perception/judgement, task of judging location desired to be thrown and the location of the thrown ball had all different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e illusion posture of the goalkeeper. In other words, they tried to throw it farther in the wing out posture while throwing it closer in the wing in posture when the goalkeeper looked smaller.
본 연구는 뮬러-라이어 착시 도형을 이용하여 지각과 동작 수행 간에 나타나는 정보획득과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조준과제와 잡기과제에서 나타난 행동학적 특성을 통해 지각과 동작의 제어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 1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지각판단 과제, 잡는 잡기 과제, 조준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안구 움직임 추적장치(EMR-9), 3차원 동작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변인에 대한 지각과 동작 수행의 정보획득과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뮬러-라이어 착시 도형에서는 실제 크기와 다르게 지각 하였을 때 잡기 과제에서 다르게 지각한 것이 동작 수행에 영향을 끼쳤고, 최대그립크기와 같은 요인에서도 다르게 지각한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지각과 동작 제어 기전에서 연합성과 분리성의 개념이 아닌 복측흐름과 배측흐름에서 서로 상호작용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